추억 속 긴다리소똥구리, 20여년 만에 우리 앞에 나타나다
상태바
추억 속 긴다리소똥구리, 20여년 만에 우리 앞에 나타나다
  • carnews
  • 승인 2013.06.11 1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이상팔)은 1970년대에는 쉽게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보기 힘들어진 긴다리소똥구리(Sisyphus schaefferi)가 서식하는 있는 것을 강원도 영월에서 20여년 만에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소똥구리는 동물의 배설물을 이용하여 경단을 만드는 곤충으로 어린이들에게는 ‘파브르곤충기‘를 통해서 잘 알려져 있고, 어른들에게는 어릴 적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친숙한 곤충이다.

 

긴다리소똥구리류는 유럽, 중국, 몽골, 멕시코 등 전세계적으로 40종이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1종만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말똥구리, 꼬마쇠똥구리 등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 분포 기록은 있으나 공식적인 기록으로는 1990년 강원도 철원과 양구에서 확인된 것을 마지막으로 최근까지 분포가 확인되지 않았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하는 생물 표본으로 우리나라 생물종의 서식 증거로 이용하는 ‘확증표본(voucher specimens)확보사업’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기록종 중 미확인 곤충종들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동물의 배설물로 경단을 만들어 굴리는 긴다리소똥구리를 확인했다.

 

긴다리소똥구리는 뒷다리 발목마디가 매우 가늘고 긴 것이 특징으로 어른벌레의 몸은 둥근 알모양에 광택이 없는 검은색이고 더듬이 마디는 8마디, 크기는 7∼12mm다.

 

생태적 습성으로는 동물의 사체나 배설물을 찾아오며, 5월께 배설물을 이용해 약 12mm 경단을 만들어 굴속에 굴리고 가서 경단 한 개에 하나의 알을 낳는다.

 

대부분의 곤충들은 수컷의 역할이 번식을 위한 생식활동에만 한정적이지만 긴다리소똥구리는 부부가 공동으로 경단을 만들고 굴려서 옮기며 땅에 굴을 파서 경단을 저장하는 습성이 있다. 

 

우리나라 소똥구리과는 현재까지 33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 동물의 배설물로 경단을 만들어 굴리는 종은 멸종위기종 Ⅱ급인 ‘소똥구리’를 포함해 왕소똥구리, 긴다리소똥구리 등 단 3종뿐으로 대부분 1970년대 이후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향후 ‘확증표본확보사업’ 등을 통해서 그간 확인되지 않았던 종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우리나라 기록종의 증거용 표본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긴다리소똥구리.jpg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