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TBN교통이슈-전기차개발 국제동향과 국내 보급지원 현장-20151101
상태바
[전국]TBN교통이슈-전기차개발 국제동향과 국내 보급지원 현장-20151101
  • cartvnews
  • 승인 2015.11.03 23: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규제를 강화하는 국제현실이 친환경과 가속성능까지 우수한 전기자동차 시장을 

급격하게 확대시키고 있는 분위기인데요.

전기자동차 에너지원인 이차전지도 납축전지에서 니켈수소(Ni-MH)에 이어 리튬 이온전지로 발전되면서 

주도권의 한 축을 한국이 잡는 기회를 얻게 됐습니다.환경부 지원 전기승용 보급대수는 

민간보급에 힘입은 제주도246대 서울 117대를 비롯 경남 360, 경기243대 부산 26대를 포함 

4945대라고 하는데요.

민간 보급 1772대에 충전기도 부족하고 인프라 구축도 늦어지고 있어 김 경배 교통전문위원과 함께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Q : 안녕하세요

A : . 안녕하십니까.

 

Q : 얼마 전 전기차시대를 주도할 전력시장 제도화와 선진국의 다양한 활용방향과 사례들이 소개된 컨퍼런스가 개최됐다면서요?

 

. 온실가스 감축, 주요수단에, 전기 차를 활용하자는 건데요.

낮 시간대 사용이, 집중되고 야간에는 사용하지 않는 전기를,

전기 차에 비축했다, 판매하자는 얘기까지 나왔습니다.

선진 플랫폼에는, 낮에 충전된 전력을 야간에 되팔거나

정전 또는 전력부족, 비상사태 대비를

체계적으로 제도화 하고 있다는 건데요.

한국전기차 충전서비스 박 규호 사장은

12, 책정이 예상되는, 충전기 사용 요금과

서비스 발전 전망 등의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Q : 전기 차 전력을 집이나 전력시장 판매가 가능하다면 동시다발적 충전이

전력과부하 현상을 부를 수 있다는 얘기 아닌가요

 

.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습니다만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으로, 전력수급에 지장은 없다는

한국전력 조 종만 본부장에 의해 일축됐습니다.

하지만, 전기 차, 제작사별로, 다른, 충전방식에 대비하자는

국제표준 지적에는, 공감대가 조성됐습니다.

그리고, 전력비축, 사업성 활용방안인, 그리드서비스를 비롯

현재로선 이해 정말 안 되는 V2G, 그러니까

발전기 증설 대신, 이렇게 모아진 전기 차, 전력을,

건물에 이용하자는 발표에는

시기상조라는 얘기도 나왔는데요.

충 방전횟수는, 고가인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고

이동거리를 상대적으로 줄이는 원인인 만큼,

지금으로선 너무 터무니없는, 얘기라는 겁니다.

 

Q : 전기차가 비싼 이유는 에너지 저장고인 배터리 성능과 가격 때문인데

전환을 앞당길 배터리기술 현재 어느 단계에 왔나요?

 

. 전기 차가, 내연기관차보다 먼저 개발됐지만

그 때는, 제대로 된, 납축전지조차 없다보니,

아쉽게도 내연기관에 자리를 내 줬죠. 지금은 니켈수소(Ni-MH) 이차전지에 이어

휴대폰에서, 가치를 인정받은 리튬이온 전지가

,대형용 전기 차 배터리로 이용되면서 다시

부각되고 있는데요.

우리 전기 차 산업 역시, 다소 뒤진 면도 있지만

배터리산업 분야에서는 세계적 입지를

다지고 있기 때문에, 미국 테슬라 못지않은

강국 자질을, 피력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Q : 전기 차 산업 주도권 한 축을 한국이 잡고 있다는 얘기지만

보급이나 기술 분야로 볼 때 전기 차 종주국이 될 수 있을까요?

 

. 한국 SNE Research가 본, 지난해, 내연기관과

모터를 동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를 비롯, 신형 순수 전기 차

BEV타입의, Global, 시장규모는 2백만 대가 넘었고

2020년에는 850만대 이상이 된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2020년 사이, 증가 그래프에서는 PHEV연평균 62.4%이고 그 다음이 BEV, 59.8%

예측하고 있습니다.다시말해 2020년까지는 지금도 40km 운행을

가능케 하는, 엔진 겸용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주도한다는 얘기죠.

결론은, 2020년이 넘어야, 순수전기 차, 에너지원인

배터리 수명을, 10년으로 늘리고, 충전효율도 극대화하는

기술개발 시점이, 엇비슷해 진다는 뜻인데요.

6개사 제작한 전기승용 보급대수는 제주도246

서울 117대를 비롯 경남이 360,

경기가 243, 부산 26대를 포함하면 4945대이고

2인승 경형 화물전기차 라보 피스도 민간보급을 시작했습니다.

 

Q : 9월부터 급증되고 있는 국내 친환경차 보급에서도 전기 차 비율은 아주 낮은데

성능 문제인가요 아니면 충전인프라인가요?

 

현대·기아차와 한국GM, 르노삼성이 지난 9월 판매한

친환경차는 22758대지만 대부분 엔진 겸용 차죠.

하지만 테슬라와 GM, 포드를 비롯한

닛산과 폭스바겐 등이 주행거리를 대폭 개선한

신형 순수 전기 차 BEV 출시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GM, 3만 달러대의 한국 배터리로 주행거리를

320로 늘린, 볼트(Bolt)를 내 놓는다고 하는데요.

이에 맞춰서 환경부도 전 차종 이용이 가능한

충전인프라 구축에 나섰습니다.

그런데 BMW i3와 호환되지 않는, 보급초기

기아 차만을 위한 전용충전기

업그레이드 작업은 거의 배제된 상황입니다.

더욱이 고속도로 이용확대가 목적인,

인프라에서도, 신규설치가 우선이라,

예산이 남아야만 업 그레이 한다는 계획인데요.

이는 곧, 3백여 대에 달하는, BMW i3

경부간, 안성휴게소 상하 행과 서울-춘천 간

가평휴게소, 충전기 사용을 불허하는 것과도

다를 바 없다고 판단됩니다.

 

Q : 내년부터는 요금까지 부과되는데 신설만 중시하는 기존충전기 공용 배제문제앞뒤가 안 맞는 상황인데

무료 충전서비스를 유료화한다면 보급정책에도 영향이 따를 것 같은데 어떤가요?

 

맞습니다. 지원금을 줘도, 보급 미달 상태인데,

충전요금까지 받는 다면, 구매를 저하시키는

당연한 계기가 될 것이니까요.

물론, 지역 운행 현실을, 고속도로 이용으로

끌어내기 위한, 225개 휴게소, 충전기 설치는

완충은 안 되도, 짧은 시간에 보충시키는 개념이라

의도는 좋습니다.

급속충전기 대수는 현재 100기이고,

이 중 30기가 고속도로에 설치됐는데 연말까지

46기로 늘린다는 계획이니까요.

게다가 100기를 목표로 한 2017년에는

당진영덕고속도로와 대전통영고속도로, 부산울산고속도로,

대구부산고속도로 등을 포함시켜, 전기 차 7개 모델의

운행한계를 극복시킨다는 취지지만, 환경부는

가끔씩, 충전 불가한 황당한 일도 있다는 걸

알아야 할 것입니다.

 

Q : 충전시스템을 검색한 정보로 찾아갔는데 충전이 불가하다면 황당하겠네요

요금보다는 서비스개선이 우선돼야 하지 않을까요?

 

맞습니다. 실시간 에서 설치장소와

충전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도착했더니

고장이 나거나, 충전중인 경우가 간혹 있기 때문인데요.

기다려도 안 되는 고장인 경우는,

견인되는 신세가 된다는 겁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1차 민간보급 때 설치된 충전기, 비용 정산을, 지자체가 미루다보니 심지어 올 신규설치가, 지연된다는 얘기까지 있는데요. 이 또한 비싼 전기차를 제대로 활용 못하는 환경부 정책에 반하는 만큼, 조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