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제3차 무투회의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방안’ 보고
상태바
산업부, 제3차 무투회의에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방안’ 보고
  • carnews
  • 승인 2013.09.25 11: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는 2013.9.25(수) 오전,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3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개최하고, 3단계 투자활성화 대책과 농수산식품 수출확대 방안을 보고하였다.
 
이날 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윤상직)는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방안?을 투자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기획재정부(장관 : 현오석)는「3단계 투자 활성화 대책」을 총괄 보고하였고, 농림축산식품부(장관 : 이동필)는「농수산식품 수출확대 방안」을  보고하였다.


산업부가 보고한「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방안」*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산업부) ‘노후 산업단지의 활력 제고’/ (국토부) ‘新산업에 부응한 입지공급’

 

1. 산업단지의 현황과 성과

 

산업단지는 ‘64년 구로수출산업공업단지(現 서울디지털단지)* 최초 지정 후 양적?질적으로 팽창**하며 우리 경제의 성장을 견인해 왔다.

    * 근거법령 : 「수출산업공업단지개발조성법」, ‘76년 국가수출의 13% 차지

    * 산업단지 수 : (`00)493개 → (`05)587개 → (`10)901개 → (`12)933개 (지정면적 1,359km2, 서울시 면적(605km2)의 2배규모)

 

< 전국 산업단지 현황(‘12.12월 기준) >

구 분

지 정

(개)

가 동

(개)

가동업체

(개사)

생 산

(조원)

수 출

(억불)

고 용

(만명)

국 가

41

34

42,303

680

2,674

107

일 반

497

255

19,987

309

1,510

66

도시첨단

11

2

130

0.2

0.1

0.1

농 공

444

384

5,475

49

116

14

993

675

67,895

1,037

4,301

188

 

전국제조업 생산의 65%, 수출의 76%, 고용의 44%를 담당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11년)

 

자료1.jpg

 

2. 산업단지 문제와 원인진단 

 

최근 노후화 진전과 부정적 이미지로 청년층의 산업단지 기피현상이 심화되면서 산단 내 입주기업들의 인력난은 가중되었다.

 

노후산단(착공기준 20년이상)의 수(102개)는 전체 산단(993개)의 10%에 불과하나 생산 및 입주기업수는 각각 80%, 88%(국가·일반산단 기준)*를 차지하였다.

    * 농공·도시첨단은 산단 전체 업체수의 8%, 생산의 5%에 불과하여 제외

 

대학생 중 2/3이상이 산단 취업을 기피(산단공, ’13.6월)하고 있으며, 저임금(12.6%)보다는 부정적 이미지, 편의시설 부족, 환경오염, 교통불편 등 비경제적 요인(80.8%)을 주요 기피요인으로 지적하였다.

 

따라서, 산단 기업들은 높은 청년실업* 에도 불구하고 청년인력난을 호소하였다.**

    * 청년실업율 7.5%, 전체 실업율 3.2%(연령계층별 실업율, 통계청, ’12년)
   ** 산단 전체인력 중, 청년층 수요비중은 29.1%인 반면 공급은 6.7%(산단공, ‘13년)

 

또한, 클러스터링이 필요한 첨단기업들은 이러한 인력확보 애로 등으로 산단보다는 개별입지*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 산단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였다.

   * 산단 內 지식기반산업 비중은 27%에 불과, 첨단업체의 59%는 개별입지에 산재

 

산단 내 기업들의 해외 이전과 휴·폐업 공장 부지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 산업단지 입주기업 4개社 중 1개社(23.5%)는 이주를 고려 (현대硏, `12.10)
    * 국가산단 내 휴폐업부지 : (`12.3월)54.9만m2 → (`13.3월)86.7만m2

 

산업단지 슬럼화와 환경 악화는 다시 청년층 및 우수인재의 산단 기피로 이어지는 악순환 초래

 

TP, 지역특화 및 디자인센터, 출연연 분원 등의 혁신기관들이 산단 외 지역으로 분산되어 산단 내에 창의·혁신 역량이 집적되지 못하고 있다.

   * 국가산단에 위치한 TP(총 18개)는 3개에 불과, 디자인센터(총 4개)는 전무

 

이에 따라, 해외 산업집적지와 비교시, 대덕, 구미 등 국내 산단의 혁신역량, 산학연 연계 등 질적 경쟁력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 국내외 산업집적지 경쟁력 비교(‘12, 산업硏): 구미(52) < 대덕(61) < 獨 뮌헨(74) < 핀란드 울루(78) < 스웨덴 시스타 (85) < 美 실리콘밸리(91)

 

산단공(국가), 지자체(일반) 등 관리기관의 소극적 관리와 입주기업들의 자발성 부족으로 산단환경 악화에 대한 대응은 역부족인 상황이다.

   * 입주기업은 산단 관리를 지자체, 관리기관 등 공공부문의 책임으로 간주

 

이에 따라, ‘08년 이후 산업부(구조고도화사업)?국토부(재생사업)는 각기 노후산단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였으나, 정부지원 부족, 부처별 개별추진 등으로 한계에 직면하였다.

자료2.jpg

 

3. 노후 산업단지 리모델링 활성화

 

산업부, 국토부 등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14년 6개 단지*를 선정하고 ’17년까지 최대 25개 단지**의 리모델링을 추진할 계획이다.

   * 구조고도화(산업부) 2개, 재생(국토부) 4개 ** 구조고도화(산업부) 17개, 재생(국토부) 8개

 

리모델링 대상단지에 대해 관계부처 합동 T/F를 구성하여 진단을 실시하고, 결과에 따라 사업유형*을 구분하여 추진한다.
   * 국토부, 산업부, 국토연, 산업연 등으로 구성(필요시 기재부, KDI 참여)
  ** 업종재편, 블록개발 → 구조고도화(산업부)/ 기반시설정비, 전면 재개발 → 재생(국토부)

 

관계부처, 지자체 협업을 통해 단지별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관계부처 사업을 집중 지원한다.

 

공공시설과 개별기업 시설에 디자인개념을 도입하고, 입주기업 유지보수 활동 컨설팅을 지원하여 구역별로 특화된 디자인환경 조성 추진한다.

    * 입주기업들의 자발적 사업으로 추진하되, 디자인진흥원의 컨설팅 추진

 

25개 이외의 노후 산단은 지자체, 관리기관, 입주기업 등이 자발적으로 리모델링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 성공사례 확산 노력을 병행할 계획이다.


단지별로 핵심 거점에 융복합집적지를 2~3개 조성하고, 생산시설, 연구기관, 기업지원기관, 보육·문화·체육·복지시설 등을 관계부처 사업을 연계·활용하여 조성토록 추진할 계획이다.

 

< 융?복합 집적지 구상(안) >

구성

시설

전략분야 제조기업 연관서비스업체 입주

+

공용 R&D 인프라

(건축물, 장비, 시험?인증 등)

+

공용시설

(근로자 복지?편의시설 등)

 

(구조고도화) 산단공이 휴?폐업 부지, 미활용 부지 등을 매수하거나 기보유 부지를 활용하여 ‘블록단위’ 순차개발 방식으로 추진한다.
 * (추진절차) 지식기반산업집적지구 지정 → 노후공장?유휴용지 재개발 → 첨단지식센터?R&D?Business 시설 유치, 기반시설 정비

 

(재생) 우선 사업추진 지역을 정하고, 공장위주의 토지이용 계획 변경,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고밀복합단지形 리모델링 추진한다.
* 용도지역 변경(공업→준공업?준주거), 최대 용적률 적용, 기반시설 확충 지원, 산업용지 비율 완화(대상면적 50% → 40%이상) 등(산입법 개정, ‘14.6월)

 

환경저해업종 이전집단화 지구를 대상단지별로 1개 이상 조성하여 클린 산단 구현을 추진한다.

 

동 지역에 한해서는 뿌리산업의 입주를 허용*하고 공동 폐수처리시설 등의 설치비 일부**를 지원한다.

   * 산집법 개정을 통해 ‘입주제한 금지에 대한 특례조항’ 신설
  ** 폐수 처리시설 지원(‘14년 예산(안): 국비10%(60억)/지자체 25%/민간 65%)

 

4. 혁신역량 강화

 

 리모델링 단지에 조성되는 융복합집적지에는 TP, 전문연, 시험인증기관 등의 분원*, 디자인 119센터** 등을 우선 설치하여 혁신역량을 집적하고, 

    * ‘산업기술기반구축사업’의 ‘연구기반구축사업’을 연계·활용 
   ** 디자인 전문인력(약3명)이 해당 산단에 상주하며 디자인컨설팅을 지원 (‘13년 5개 산단)

 

산·학·연 협력체 구성을 촉진(‘13년 68개 → ‘18년 100개)*하여 산·학·연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기업주치의센터 확대(‘13년 4개 → ‘14년 6개) 등을 통해 기업지원서비스도 강화한다.

   *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사업(‘13년 544억원 → ’14년 577억원)

   * (事例) 대구 성서산단의 A사는 미니클러스터 사업을 통한 인근 기업간의 교류확대로 부품구매선을 일본기업에서 동일 산단내 기업으로 전환 


리모델링 단지에 산학융합지구를 지정(‘13년 6개 → ‘18년 25개(잠정))하여 산단 내 대학, 기업연구소 등이 입주할 수 있는 거점 공간을 마련하고, 업종별 특화된 전문도서관 조성*도 확대한다.

   * 작은도서관 조성 사업과 연계하여 도서관 시설 확충 추진(’14년(안): 39억원)

 

지역별로 중소기업들이 공동으로 ‘수요조사 - 훈련 - 채용’하는 맞춤형 인력공동관리체계*를 구축·확산하여 산단 내 인력수급 미스매치 해소에도 기여하였다.

   * 인천, 천안?아산, 부산, 광주 등 4개 지역에서 시범 사업을 추진(‘13년 368억원)

 

부산물, 폐자원, 폐에너지의 재자원화하는 생태산업단지 등을 확대*하여 친환경·고효율 산단 구현을 추진한다.

    * EIP(생태산업단지)사업 대상 산단 `13년 9개 → ’15년 12개로 확대 (산업부)

 

공장 지붕 및 부설주차장 등을 활용해 태양광발전시설 설치를 확대*하고, 에너지효율기기** 보급 확대 및 통합 에너지 관리체계(K-MEG)*** 구축도 추진한다.

    * `12~`13 시범사업(2~3개소), `13~`14 국가산단 10개소, `14~`15 국가산단 24개소
   ** LED보급사업자가 LED 조명으로 교체하고, 설치비용은 전력소비 절감분으로 회수(7~8년 소요)
  ***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활용, 건물의 에너지 생산과 사용을 효율화하는 독립형 에너지 관리체계

 

5. 쾌적한 정주여건 조성

 

우선 산단 여성근로자가 보육 걱정없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도록 TP, 산단공 지역본부 등에 보육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한다.

 

 산단형 직장어린이집 지원사업(고용부)*을 등 정부지원 사업, 전경련 보육사업 등을 활용하여 보육시설을 확충하고, 공장내 공동 보육시설 설치도 허용한다.(산집법 시행령 개정, ‘14.6월)

    * 산업부?복지부?고용부 실태조사 완료후 공모 방식으로 지원- 예산: (’13년) 231억원(산단에는 134억원 지원) → (‘14년(안)) 237억원
    * 전경련이 설치하여 무상기부, ‘09년부터 산단 내에 총 13개 어린이집 개소


산단 내 근로자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산업단지 환경조성사업(산업부)*을 활용해 오피스텔, 공동기숙사 등의 확충을 추진하고, 공장내 공동 기숙사 설치도 허용한다.(산집법 시행령 개정, ‘14.6월)

    * 산업단지 환경조성사업(산업부): (‘13년 예산)110억원 → (’14년(안)220억원

 

 통근버스 운행을 금년말까지 9개*에서 20개로 대폭 확대하는 등 근로자들의 교통불편을 해소하고, 

    * 시화, 달성1차, 달성2차, 명지녹산(부산), 부산과학, 하남, 평동(광주), 군산1, 군산2

 

정부·지자체·관리기관 합동으로 도로 등 기반시설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단계적으로 노후 기반시설의 개선을 추진한다.

 

관계부처(환경부, 산업부, 고용부, 방재청 등) 합동으로 ‘산업단지 합동방재센터’를 ‘14년까지 6개산단에 구축하고, 중소기업 취약설비 등의 안전진단, 종합적 사고대응 등을 실시하여 안전관리 강화한다.

 

산단 내 노후공장 등을 리모델링해 전문박물관, 갤러리, 공연장 등을 조성*하고 산단별 테마거리 조성 및 관련 페스티벌 개최 등을 통해 근로자의 문화향유 기회도 확대한다.

    * 산단 내 폐산업시설을 활용해 갤러리?공연장 등 문화공간 조성 (‘14년(안): 125억원, 10개)
    * (事例) 독일은 루르공업지역 리모델링시, 제철소 등 폐산업시설을 철거하지 않고 박물관, 콘서트홀, 전시장, 사무실 등으로 재활용하여 문화공간을 창출, 관광자원으로 활용

 

<산단별 테마거리와 행사(예시)>

산단명

테마거리

페스티벌

남동

Beauty Street

make-up 페스티벌, 콘테스트

반월

융복합 발명의 거리

엉뚱한 발명 경진대회

구미

IT기기 DIY 거리

나 하나만을 위한 IT기기 전시회

창원

로봇의 고향

로봇 파이터 대회

울산

Automobile Tuning Avenue

자동차 튜닝 콘테스트

광주

빛나는 거리

조명 예술 대회

 

 6. 원활한 산업단지 혁신을 위한 제도개선

 

 용도지역 규제와 업종 규제를 완화하여 산업의 융복합화 추세에 대응하고 편의시설 확충도 도모한다.

 ① 산업?지원?공공시설의 복합이 가능한 ‘복합용지’ 제도 도입*
     (산집법?산입법 개정, ‘14.6월)

    * (현행) 산업, 지원, 공공시설용지 분리 → (개선) 모든 시설의 복합입주 가능

 

필요시, 일반공업지역을 준주거(최대 500%) 또는 준공업(최대 400%)지역으로 용도 변경하여 용적률 확대 적용*한다.

    * (현행) 일반공업지역(최대 350%) → (개선) 준주거(최대 500%), 준공업(최대 400%)

 

개발이익은 산업기반시설, 산업시설용지 가격인하 등에 재투자한다.

 ② 산업시설구역내 입주가 허용되는 지식산업의 범위를 확대*(산집법 시행령 개정, ‘14.6월)하여 산단 입주가능 서비스 업종 확대

     * (현행) 연구개발업 등 13개 업종 → (개선) 20개 업종(7개 추가)
     * (추가업종) 사업시설 유지관리 서비스업, 보안시스템 서비스업, 무형재산권 임대업, 물품감정계량 및 견본추출업, 환경정화 및 복원업, 조경관리 및 유지서비스업, 사업 및 무형 재산권 중개업

 

 ③ 산업단지 지정전 개발을 위해 수립하는 개발계획에 입주업종을 제한업종 이외에 모두 허용*하여 업종변경의 탄력성을 제고

     * 기반시설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큰 업종은 제외, 소규모 산단에 우선 적용, 대규모 산단은 일부 부지에 시범 적용(산입법 및 시행령 개정, ‘14.6월)

 

 ④ 소규모(예: 5만㎡이하) 산단의 개발행위의 경우 개발계획 변경의무를 면제*(산입법 시행령 개정, ‘14.6월)하여 절차를 간소화

    * (현행) 개발, 실시계획 변경(5개월 소요) → (개선) 실시계획만 변경(2개월 소요)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기존 노후 산업단지 리모델링 사업을 부처별로 개별추진하면서 성과창출에 한계가 있었다고 밝히며 금번 대책을 통해 범 부처 역량을 결집하여 가시적 성과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노후 산업단지를 기존의 부정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미래를 꿈꾸고 사람, 문화, 기술, 산업이 융성하는 창조경제의 중심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재창조해 나갈 것이라 밝히며, 노후 산업단지 리모델링이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지원만으로는 불가능하므로 입주기업, 지자체, 관리기관 등 산단 구성원들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산업단지 문제 해결에 자발적·능동적으로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참고-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방안 참고자료.hwp

산업통상자원부.jpg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