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지역이동권 ‘공공형버스 서비스’개선...개인교통수단 ‘PM안전’ 민간전환
상태바
경기 지역이동권 ‘공공형버스 서비스’개선...개인교통수단 ‘PM안전’ 민간전환
  • 교통뉴스 김경배 교통전문위원
  • 승인 2022.12.26 12: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대중교통 소외지역, 공공형 버스로 해결하자’에 따르면 개인차량이 없는 가구나 고령층의 발이 된 공공형 버스의 필요성 강조와 함께 불규칙한 배차간격과 부족한 버스 노선개선, 운전기사 친절도 교육 강화를 요구하는 도민 버스 서비스 개선 요청이 있었다.
아울러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 이용 활성화 추진 방향을 민관 합동 협의체 구성 등으로 바꾸고 있는 경기도는 개인형 이동장치(PM) 시범지구 등 조성 완료와 PM 안전 이용을 위한 유관기관 간담회를 1월 중 개최를 비롯한 교육청과 남·북부 경찰청, 공유 PM 업체 등 민-관 협업 안전 이용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전용 주차시설 227개소 후속 대책 마련에 수원과 성남, 하남, 안양, 양주, 부천, 시흥 등 7개 시 설치되는 PM 주차시설 등도 안전 이용 편익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아직도 무면허 사고와 반납장소를 지키지 않는 불법 방치 주차가 성행하고 있다.

승용차 대체 공공형 버스교통 수단 36.3%로 많아

주로 50대 이상 54.4% 공공형버스 이용연령층 집계

공공형버스 노선번호 및 행선지 쉽게 알 수 있어야

공공형 버스차량 전면부 LED전광표시판 인식력높여

12월 초 도비 50%, ·군비 50% 총 총 20억 투입한

개인형 이동 장치 활성화 시범지구 3개소 완료 앞둬

2021년 시군 공모로 시범지구및 전용 주차시설조성

 

경기연구원은 지난 63일부터 78일까지 경기도 공공형 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승객 375명을 설문 조사한 내용을 담은 대중교통 소외지역, 공공형 버스로 해결하자는 보고서를 발간했고, 광역교통정책과 첨단교통팀은 개인형 이동장치안전 이용 활성화를 위한 민관 합동 협의체 구성에 나섰다.

먼저, 경기도 대중교통 소외지역 운행 공공형 버스가 공영버스와 벽지 노선, 맞춤형 버스, 도시형농촌형 등 4가지 구분되고 있다고 설명한 경기연구원은 대중교통 소외지역에서 공공버스는 자가용 승용차 대체 교통수단으로 이용되는 만큼, 해당 지역 주민들은 버스 운행 확대와 서비스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중교통 소외지역 공공형 버스 이용 조사 연령층은 60대 이상 35.7%, 5018.7%, 2016.8% 등에서 50대 이상 연령층 54.4%가 주로 공공형 버스 이용 연령층으로 나타나면서 나이 많은 도민과 승용차를 소유하지 못한 주민들이 대체 교통수단인 공공형 버스를 이용하는 사례가 36.3%로 가장 많았다.

공공형 버스를 이용하는 이유에서는 버스의 편리성 30.9%, 저렴한 교통비용 28.8%, 정시성 양호 2.9%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중교통 소외지역에서의 공공형 버스 운행은 출·퇴근 또는 등·하교용보다는 개인적 업무와 여가 목적 관련성이 컸고 이 중 친교 목적은 53.6%로 가장 높았다.

 

경기도 공공형버스 항목별 서비스 만족도와 개선 요구

이에 반해 이용자들의 만족도 점수와 체감 만족도를 반영한 서비스 종합만족도 평가 점수가 68.0점 수준으로 나타나 다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비스 평가항목 중 차량 상태 서비스 만족도는 73.6, 운전기사 친절도 73.1점으로 높았지만 운행상태 서비스는 68.2점으로 평가됐다.

낮게 평가된 운행상태 결과는 버스를 주로 이용하는 주민들 48.0%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차간격 단축을 요청했고, 25.9%는 배차간격 준수 운행을 요구했다.

이에 연구원은 이용하기 편리한 공공형 버스 만들기 전략으로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의 지역 간 이동권을 위해 지속적인 서비스 확대가 필요 이용 수요가 많은 노선 선별적 증차를 통한 운행 확대 대중교통 소외지역 버스 수요 적고, 운행 시간 불규칙한 공공형 버스노선 수요응답형의 공공형 버스 서비스 도입 검토 정기적인 버스 운수종사자 친절도 교육 편하게 대기하면서 버스 도착 시간을 인지할 수 있는 버스 정류소 및 정보안내 시설 확충 여러 노선을 운행하는 공공형 버스의 노선번호 및 행선지 표시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LED 전광 표시판 설치 등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송제룡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에게 유일한 대중교통수단인 공공형 버스의 서비스를 개선하고 확대하여 도민들의 지역 간 이동권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기도 광역교통정책과 민관 합동 협의체 구성기반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 이용 활성화 편리한 개인형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 사용 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관련 기관과 함께 안전 이용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에 나선다.

도와 경기도의회, 경기도교육청, 경기남·북부경찰청, 경기교통공사, 수원시정연구원, 한국PM산업협회, 도내 공유 PM업체 등 민·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한 경기도는 안전대책 수립계획을 26일 밝혔다.

이들 기관과 20231월 중으로 지속적인 간담회를 통해 제기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안전 이용에 관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종합대책 실행에 필요한 ·관 합동 협의체를 구성할 방침이다.

2021년부터 시군 공모 사업으로 시범지구 및 전용 주차시설 조성을 추진해 온 경기도의 ·관 합동 협의체는 관()의 제도적·재정적 지원 속에서 공유 PM업체 등 민간부문이 안전 이용 활성화방안에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운영된다.

이번 간담회는 올 12월 초 총 20억 원(도비 50%, ·군비 50%)을 투입한 개인형 이동장치 활성화 시범지구 3개소를 비롯한 조성 완료를 앞둔 전용 주차시설 227개소에 후속 대책을 마련하는 데 있다.

 

광교중앙역 인근 마련된 개인용 공유 교통수단 PM주차장(사진=수원특례시)
광교중앙역 인근 마련된 개인용 공유 교통수단 PM주차장(사진=수원특례시)

앞서 지정한 전철역 등 대중교통과 연계가 쉬운 지역에 자전거도로를 정비하고,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시범지구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7월까지 조성된 시범지구 3개소로 수원(아주대, 월드컵경기장 인근·1km), 성남(판교역 일원·0.6km), 하남(풍산역 일원·1.3km)이다.

 

수원, 성남, 하남, 안양, 양주, 부천, 시흥 등 7개시 PM 주차시설 설치로 안전 보강

이외에도 올 12월까지 수원(116), 하남(8), 안양(20), 성남(57), 양주(5), 부천(6), 시흥(15)에도 개인형 이동장치 5~10개를 주차할 수 있는 부스·거치형 시설 227개소를 마련한 경기도는 시범지구 및 주차시설 운영을 통해 체계적인 주정차 관리와 도민 보행 불편 사항 등을 파악하는 등 추후 사업을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하남시내 눈덮인 보도에 방치된 공유 PM 불법주차(사진=교통뉴스 D/B)
하남시내 눈덮인 보도에 방치된 공유 PM 불법주차(사진=교통뉴스 D/B)

또한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 안전 인식 제고를 위한 사업 일환으로 지난해 10월 경기도교통연수원 내 PM 안전 교육장을 조성한 경기도는 올해 안전 교육 이수자가 612명에 달했고, 내년에는 경기도평생학습포털(Gseek)을 통한 전동킥보드 안전 교육 콘텐츠를 게시하고 G버스에서도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 이용 홍보 영상을 송출 예정이라고 한다.

민관 협의체 구성기반으로 도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개인형 이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박래혁 경기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개인형 이동장치 시범지구를 몇 개월간 운영하면서 안전 이용을 위한 추가 대책의 필요성을 느껴 전동킥보드 안전 교육에 더 깊은 관심을 갖겠다고 표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