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 칼럼] 이륜차 사망자 매년 약 5백명, 이제는 멈춰야
상태바
[김필수 칼럼] 이륜차 사망자 매년 약 5백명, 이제는 멈춰야
  • 교통뉴스 김필수 교수
  • 승인 2022.05.08 0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배달문화가 급속 확산되면서 가뜩이나 후진적인 이륜차 문화가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자료사진=PIXABAY
배달문화가 급속 확산되면서 가뜩이나 후진적인 이륜차 문화가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자료사진=PIXABAY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배달문화가 크게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배달비용이 급등하고 플랫폼기업만 배불린다는 비난이 일고, 일회용품 쓰레기 증가 등 사회적 고민도 늘고 있다.

특히 가장 큰 고민은 그렇지 않아도 가장 후진적이고 낙후된 영역인 이륜차 영역은 개선되지 않았는데 배달수요가 폭증하면서 사고도 늘어나 연간 이륜차 사망자가 500명 정도에 이른다는 점이다.

코로나 이전 연간 사망자 300명대 수준도 OECD국가 중 가장 나쁜 수치였는데 더욱 불어났다. 하루에 1.3명 이상이 이륜차 사고로 사망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 중 과반 이상이 최근 급증한 배달 시 발생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확실하게 개선시켜야 한다는 움직임은 미약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이륜차 분야는 이미 수십 년간 산업과 문화가 무너져 심각하게 뒤쳐져있는 분야기 때문이다.

다른 분야는 선진국으로 진입한지 오래이건만 가장 심각하게 낙후된 이유는 국민들의 부정적인 시각과 이에 동조하여 외면하고 개선에 소홀한 정부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지자체는 물론이고 동종업계의 자정적인 개선 노력도 매우 부족하여 모두가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륜차의 사용신고부터 보험, 정비, 검사는 물론이고 폐차 등 어느 하나 성한 곳이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이륜차 운행 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과도한 운행제한 등도 코너로 몰고 있다. OECD국가 중 유일하게 고속도로는 물론 자동차 전용도로도 진입하지 못하는 기울어진 운동장 신세가 된지 오래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달문화 확산으로 이륜차의 운행이 급증했고 시간싸움, 영역 싸움 등이 치열해지면서 더욱 무분별한 운행이 도를 넘는 단계에 왔다고 할 수 있다.

‘길이 아니라도 좋다’라는 인식으로 횡단보도 운행, 인도 진입은 기본이고 급차로 변경과 법규 위반은 기본인 상태가 되어 사망자와 사고율이 급증했다.

일반 운전자들도 주변에 이륜차가 나타나면 공포감을 느낄 정도로 심각도가 커졌고, 심지어 일반 자동차가 피해자인데도 불구하고 무면허·무보험 이륜차로 인해 보상이 안 되는 부작용도 빈번하다. 이 정도면 무정부 상태나 다름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정부는 이륜차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특히 일반 자동차 운전자들에게도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하여 정화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륜차 앞 번호판 도입이나 이륜차 소음제도 강화와 단속은 기본이지만 근본적인 제도 개선과 문화 선진화 운동도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배달문화의 문제점은 이륜차의 문제점이 아닌 배달업종의 기준 강화가 답이 될 것이다. 동시에 삼일절이나 815광복절에 항상 등장하는 폭주족의 경우도 이륜차의 문제점이 아닌 청소년의 문제점으로 접근하고 풀어나간다는 인식 제고가 요구된다.

이륜차 문제의 개선이 지금까지 지지부진한 이유는 국민 관심분야나 인기를 얻을 수 있는 분야만 우선적으로 개선하고 이륜차 분야는 외면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륜차는 공로상에서 일반 자동차와 함께 달리는 이동수단인 만큼, 따로 생각할 수 없다. 교통안전을 위해서 당연히 개선하고 균형을 잡아야 하는 분야인 것이다.

앞서 언급한 각종 문제점 개선도 함께 해야 하지만, 우선적으로 선진 교통문화 확산으로 이륜차 사망자부터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앞 번호판 부착 등 자신의 신분부터 노출하여 익명성을 줄이고 배달 업종에 대한 이륜차 운전 교육은 기본이며, 배달 시간제 확보로 인한 급하고 거친 운전 방지, 어겼을 경우의 퇴출방법 강화도 필요하다.

즉 지금 같은 무분별한 운전방법부터 근본적으로 개선하자는 것이다. 선진국의 좋은 이륜차 사례가 즐비한 만큼 정부당국과 지자체가 이륜차 문화 개선을 위한 근본적인 대안이 꼭 필요하다.

특히 새로운 정부가 여러 자동차와 교통정책을 표명하고 있지만, 가장 심각한 이륜차 분야와 배달문화 선진화에 더욱 공을 들여 전체적인 균형을 잡는 것이 가장 핵심 과제라 할 수 있다. 항상 강조하던 국내 이륜차 분야의 선진화가 이번 정부에서 과연 가능할지 기대해본다. [교통뉴스=김필수 논설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