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 칼럼] 쌍용차, 어떠한 방법으로도 살려야 한다.
상태바
[김필수 칼럼] 쌍용차, 어떠한 방법으로도 살려야 한다.
  • 교통뉴스 김필수 교수
  • 승인 2022.04.11 1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쌍용차가 생사의 기로에 놓여있다. 자료사진=쌍용자동차
쌍용차가 생사의 기로에 놓여있다. 자료사진=쌍용자동차

이번에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가장 큰 숙제가 바로 쌍용차의 처리일 것이다. 최근 에디슨모터스의 쌍용차 인수가 무산되면서 매각작업은 원점으로 돌아갔고, 그 기간이 많이 남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번 매각 무산은 자격 미달인 기업이 인수전에 뛰어들면서 예상됐던 사태였지만, 그래도 인수에 성공한다면 정상적인 회생은 어려워도 어느 정도의 기간만큼은 수명을 연장할 수 있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현 상황에서 당장 할 수 있는 방법은 마땅치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올 10월 말까지 법정관리를 연장하여 기간은 벌었지만, 이 기간 사이에 더욱 허리띠를 졸라매어 굶어죽을 정도로 뼈를 깎는 자구책이 나와야 한다. 동시에 재공고를 통하여 하늘에 빌어서 좋은 투자자가 등장해야 한다. 기간도 짧아서 이전과 달리 반년 안에 모든 것을 결정지어야 하는 만큼 한시적인 수명연장이라 할 수 있다.

이전에 쌍용차의 처리에 있어서 다양한 의견이 도출되었으나 모든 것이 불가능한 언급이었다. 국유화라든지 산업은행이 우선 인수하여 민영화를 점차 하는 방법은 물론이고, 위탁생산 활성화, 심지어 현대차가 인수하면 된다는 등 말도 안 되는 언급이 나왔다.

산업은행이 추가 투자를 통해 국유화하는 것이 불가능한 이유는 산업은행의 투자도 투자자가 투자하여 평가를 하고 매칭 펀드로 투자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산업은행은 국민의 혈세로 투자하는 만큼 눈먼 돈이 아니라는 인식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껴야 하고 대국민 설득과 명분도 중요하다.

최근의 상황이 더욱 안 좋은 것도 문제라 할 수 있다. 최근 전기차 시대로 본격 접어들면서 기존 내연기관 생산 시스템에서 탈피하면서 글로벌 시장에는 잉여 시설과 잉여인력이 남아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래 성장 동력이 약한 쌍용차를 인수하거나 투자하는 것은 좋은 전략이 아니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새로운 투자자 찾기가 쉽지 않다. 특히 쌍용차는 SUV에 한정되어 있고 디젤차 쪽에 특화되어 있는 반면에 미래형인 전기차 등에서는 매우 약하다는 평가다.

최근 인수 무산 이후 재공고가 나가지 않은 상황에서 쌍방울그룹 등 얼 기업에서 의향서를 내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투자자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어서 새롭게 등장하는 모습은 반갑지만 인수자의 실질적인 역량이 더욱 중요해졌다.

쌍방울그룹의 경우 계열사인 특장차 업체인 광림특장차가 있어서 같은 자동차 제작사와 최소한의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보고 있으나, 문제는 재정적인 안정화 여부라 할 수 있다. 에디슨모터스의 경우도 결국 재정 동원능력이 한계가 커서 무산된 만큼 후발주자들의 재정적인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재공고 이후 역량이 충분한 기업이 지원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두 손 모아 빌고 싶다. 쉽지 않지만 어떻게 해서든지 인수할 수 있는 기업의 결정과 법정관리를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쌍용차의 인수가 목적이 아닌 땅장사 등으로 돈벌이를 노리는 기업은 관계당국이 확실하게 막아야 할 것이다.

쌍용차 같은 제작사의 문제는 해당 국가에 치명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약 5년 전 약 8,100억원의 산업은행 지원을 받은 한국GM의 경우도 지원 이후 특별한 개선 변화가 없어서 향후가 걱정이지만, GM이 국내 공장과 연구시설을 철수하지 않아 경제적 타격은 적었다.

우리나라도 큰 기업의 청산이나 철수 등의 문제가 재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쌍용차 역시 투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서 청산에 대한 언급이 커지고, 실질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면 심각한 경제적 주름살을 크게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쌍용차가 청산되면 현지 공장인 평택지역은 물론 수백 개의 부품사의 부도는 물론이고 수만 명이 일자리를 잃고, 심지어 쌍용차 차주에게도 사후관리 불가 등 경제적 손실을 줄 수 있다. 일파만파로 손실을 주기 때문에 청산은 벼랑 끝에서 어쩔 수 없을 때 할 수 있는 마지막 조치가 될 것이다.

윤석열 정부에서 이 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궁금하기도 하다. 정부가 시작하면서 당면한 가장 큰 문제고, 이 정부에서 표명한 기준이 민간 차원의 시장 경제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그냥 놔두지 않을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시장 경쟁논리에 의하여 당장은 손을 자르는 아픔이 있겠지만 후에 모두를 위협하는 문제가 되지 않게 미리부터 아픔을 겪게 할 수도 있다고 하겠다. 상황에 따라 극과 극의 처방전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에는 쌍용차이지만 향후 한국GM 등 문제점도 다시 등장할 가능성도 분명히 있다. 최근 급변하는 자동차 산업에서의 준비도 미흡한 부분이 많은 상황에서 강성노노로 인한 임단협 문제 등 고민거리가 충돌하면서 경제적 주름살을 크게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번 정부는 중심을 잡는 균형을 언급한 만큼 한쪽 편보다는 경제 활성화와 민간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기업하기 좋은 국가로의 방향성은 환영받을만하다.

쌍용차는 국내 제작사 중 그리 큰 기업은 아니지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로 적지 않다. 방법은 없고 시간은 한정적이지만 그래도 꼭 살려야 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기회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한명도 구조조정 못하는 한계점은 매우 큰 단점이라 할 수 있으나 각자가 최선을 다하여 쌍용차를 살리는 임무에 매진했으면 한다. 미래의 모빌리티 산업에서 특화되고 차별화된 글로벌 히든 챔피언으로 쌍용차가 재탄생하기를 기원한다.

지금까지 너무 힘든 과정을 거쳐 온 쌍용차이다. 제대로 된 투자자가 없는 현실에서 이제는 막다른 골목이라 할 수 있다. 회사 구성원은 정부에 기대지 말고 우선 죽을 각오로 회사를 살린다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 길은 열릴 것이고 분명히 살아올 수 있는 기회는 있을 것이다. [교통뉴스=김필수 논설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