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먹는 물 미세플라스틱 안전성’ 신뢰 지수는?
상태바
반복되는 ‘먹는 물 미세플라스틱 안전성’ 신뢰 지수는?
  • 교통뉴스 김경배 교통전문위원
  • 승인 2022.03.21 1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세플라스틱 선제적관리 ‘먹는물’ 안전성 높인다
먹는물‧수환경‧토양희석 미세플라스틱 분석표준화
분포실태조사와 미세플라스틱노출유해성연구핵심
환경과학원, 올해 전과정 통합기반연구 본격 추진
제5차인천앞바다·한강서울 쓰레기처리협약 진행형
이행이중요한 내년5년간 쓰레기처리비용분담·조정
미세플라스틱 수질오염방지, 수생태회복 어업환경
미세플라스틱 분석 모습. (사진=환경부)
미세플라스틱 분석 모습. (사진=환경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국제적 환경 현안문제로 떠오른 미세플라스틱 오염원에 대한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미세플라스틱 집중 연구 중기 이행계획을 2026년까지 수립하고 올해부터 실행과제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효과적인 미세플라스틱 관리방안 마련의 중점은 발생원의 관리와 분석법의 표준화를 비롯한 환경 중 실태조사유해 특성조사 등 4개 분야에 걸친 전 과정을 통합한 기반 연구의 19개 세부과제로 세분류된다.

이 세부 추진과제에는 미세플라스틱 배출원 분류체계 구축과 환경 시료 중에 함유된 미세플라스틱 분석법 표준화, 먹는 물수환경토양 등에 희석된 분포실태 조사와 미세플라스틱 노출 유해성 연구 등이 핵심 사안이다.

통상 5mm 미만 크기의 플라스틱 분진을 지칭하는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재질처럼 다양하다.

1차 미세플라스틱은 세안제와 샴푸, 치약, 화장품 등에 사용된 일종의 찌꺼기이고, 2차 미세플라스틱은 의류와 가방, 포장지, , 병을 비롯한 산업용 및 어업용 플라스틱 제품이 물리·화학적으로 파쇄되거나 분해된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가장 먼저 정립될 사항은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정확한 분포실태 파악과 연구기반 확립’ ‘관리대책 수립등 이다.

이를 위해 분석 방법을 정립하는 국가표준(KS) 제정, 즉 분석 방법의 표준화추진에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도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미세플라스틱 측정과 분석법 중 하나인 현미경과 결합된 적외선 분광법(FT-IR)을 채택했다.

특정 파장 흡수하는 적외선특성 플라스틱 종류 분석하는 분광법신뢰 높이 평가

각국의 표준 관련 전문가들이 표준개발을 지원하고, 플라스틱 종류를 분석하는 적외선 분광법은 시간진동수를 신호로 변환(푸리에 변환)해서 해석하는 기구는 현재 165개국이 가입된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산하 기술위원회(TC, Technical Committee)와 분과위원회(SC, Sub-committee)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특정 파장을 흡수하는 특성으로 플라스틱 종류를 분석하는 적외선 분광법(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은 시간에 대한 진동수를 신호로 변환(푸리에 변환)해서 해석한다.

이 표준화된 적외선 분광법 이용은 먹는 물강물’ ‘하수등에 섞인 미세플라스틱 함유 실태에 대한 신뢰성과 통일성 있는 측정자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미세플라스틱 관리정책 마련 등에 활용된다.

또한 국민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먹는 물 미세플라스틱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올해부터 2025년까지 4년간 본격적인 실태조사에 들어간다.

물론 1974년에 설립된 정부 기관인 독일환경청(UBA,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도 환경에 대한 평가와 연구를 통해 환경정책을 집행·지원하는 등 독일 미세플라스틱 문제에 선도적 대응을 하고 있지만 유럽, 특히 독일 생활 수질이 나쁜 현실에 미루어 볼 때 신뢰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전국 주요 정수장의 정수실태조사와 함께 유입원별 유입량 조사, 효과적인 유입 방지와 처리에 대한 연구에서 독일환경청 역할에 거는 기대가 큰 것 같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2018년부터 해마다 국제 미세플라스틱 학술 토론회를 개최하는 국립환경과학원은 2020년에는 독일환경청(UBA)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해외 전문가들과 상호교류하고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인 공동 협력과 대응 방안 모색에 나선데 반해 경기도는 지난 214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하천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함량조사에 직접 착수했다.

연구원 설립 후 착수한 첫 조사 대상은 탄천오산천도심하천과 농촌지역 복하천을 비롯한 도농복합지역 경안천 등 4개로 오는 10월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3월부터 10월까지 조류와 부유물 상태 현장 조사와 미세플라스틱종류 및 함량을 기기분석하고, 구체적인 조사 지점은 이달 중 정리할 방침이다.

특히 처리 방법이 다른 하수처리장 2개소도 별도로 조사해서, 방류수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과 계절적 요인 등도 파악한다.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하수처리시설 여과 작업 이후에도 하천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끝내는 토양을 오염시키고 이를 섭취한 물고기 등을 먹게 되는 인류까지 위협받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런 심각성을 잘 알고 있는 신선경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기반연구부장도 현재 국립환경과학원은 미세플라스틱 연구기반 마련을 위해 국가표준을 제안하고 본격적인 실태조사 등 전 과정 통합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고, ‘먹는 물안전성에 중점을 둔 미세플라스틱 관리에 만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환경부와 경기도·서울·인천시...한강쓰레기 처리비용분담 해양쓰레기 줄일 수 있나

경기도는 지난해 1015일 국민의 젖줄이자 한강 주변으로 밀려와 쌓이는 쓰레기 때문에 해양 오염원 발원지가 되는 문제 처리를 위해 환경부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와 손을 잡았다.

식수원이지만 처리비용 때문에 선뜻 나서지 못하는 사이에 한강하구를 통해 유입되는 쓰레기는 많은 문제를 야기하면서, 공동처리를 약속한 5차 인천 앞바다 및 한강 서울 구간 쓰레기 처리 비용 분담협약을 체결한 것이다.

지난 2002년 장마와 태풍 등의 집중호우 때마다 타격을 입고 있는 한강하구 수질오염과 수생태계의 교란을 비롯한 어업 손실을 막는 방법으로 서울시와 인천시 간의 협약을 체결한 경기도는 15일에도 수도권 3개 시·도와 5차 인천 앞바다 쓰레기 처리 비용 분담을 서면으로 체결했다.

이 자리에서 환경부는 2022년부터 5년간 425억 원을 투입해서 한강하구로 유입되는 쓰레기를 처리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지만 지난 20075년마다 한강 서울 구간과 하구 쓰레기 즉시 수거·처리에 들어가는 비용을 분담협약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국토교통부가 관리하던 물 관련업무 분야를 이양받는 형태로 또 하나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게 된 셈이지만 결실과 내실은 계속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