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안정적 실현을 위해 하이브리드차 세제감면 필요
상태바
탄소중립 안정적 실현을 위해 하이브리드차 세제감면 필요
  • 교통뉴스 김종혁 기자
  • 승인 2021.06.03 15: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이브리드차는 내연기관과 전기동력차 가교역할
세제혜택 충족 하이브리드차중 국산차 비중은 87%
사진=기아 제공
기아 K8 하이브리드 모델. (사진=기아)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보고서를 통해 전기동력차 전환과정에서의 산업충격 우려와 2050 탄소중립정책 및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현실적 대안을 고려,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세제혜택을 지속·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하이브리드차 보급 필요성 및 정책과제’라는 제목의 보고서는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정부 지원이 2017년 총 383만원에서 2021년 183만원까지 매년 50만원씩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조금 축소에도 하이브리드차는 최근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지만 이는 하이브리드차의 높은 연비로 인해 운행할수록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대표적으로 RV차량은 2019년 대비 2020년 디젤차 비중이 50.1%에서 41.2%로 감소했지만 하이브리드차 비중은 3.9%에서 8.1%로 증가 추세다. 그러나 세제지원이 없는 경우 소비자에게 하이브리드차가 가지는 매력이 상당부분 반감될 수밖에 없는 게 사실이다.

또한 협회는 하이브리드차가 탄소중립 및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현실적 대안임을 강조했다. LCA(Life Cycle Assessment, 전주기적평가) 관점에서 하이브리드차는 27.5 t CO2-eq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이는 반면, 80kWh급 전기차는 배터리 제조 및 재활용 방법에 따라 최대 28.2 t CO2-eq의 배출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발전믹스에 따라 전기차의 친환경성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나 2030년까지 국내 에너지발전믹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미세먼지 측면에서도 가솔린 하이브리드 RV차량이 디젤 RV차량의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하이브리드차 보급확대가 결국 미세먼지 감축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특히 하이브리드차는 전기동력계 핵심부품(배터리, 모터, 인버터, 컨버터 등)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내연기관차와 전기동력차 간 가교역할을 수행, 전기동력차 전환과정에서 중소부품업계 등 자동차산업 생태계에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전환이 가능하다.

높은 내연기관 기술력과 부품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는 일본, 독일 등은 하이브리드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를 통해 내연기관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전기동력차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 중이다.

중국도 2035년 전기동력차 전환 100%를 선언하면서 전기동력차중 하이브리드차 비중을 50%로 설정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국내 내연기관 부품업체들이 하이브리드차의 캐시카우 역할을 기반으로 전기차 투자가 필요하다”면서 “2020년 기준 전기차 시장의 국산차 비중은 65%인 반면 세제감면 요건을 충족하는 하이브리드차 중에서는 국산차 비중이 87%에 달해 국내 자동차산업 육성 측면에서도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지원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