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칼럼] 전기차 충전 인프라, 아파트를 해결해야 한다
상태바
[김필수칼럼] 전기차 충전 인프라, 아파트를 해결해야 한다
  • 교통뉴스 김필수 교수
  • 승인 2021.03.22 08: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국내 아파트에는 전기차 전용 충전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교통뉴스 자료사진
국내 아파트에는 전기차 전용 충전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교통뉴스 자료사진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이 생각 이상으로 빠르게 진행되다보니 내연기관차와 공존하는 시대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 이미 북유럽 발 국가 차원의 내연기관차 판매종식 선언이 미국과 일본 등으로 번졌고, 최근에는 글로벌 제작사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차 그룹도 작년 말 디젤엔진 개발을 더 이상 하지 않기로 했다. 국내 업계도 가솔린엔진 개발중단도 시간문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수소전기차와 함께 전기차가 그룹의 주력 모델로 떠오르면서 올해부터 본격적인 시동이 걸리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도 앞으로 미래 먹거리 중의 하나인 전기차 활성화를 위한 보급과 인프라 구축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하겠다. 이미 최고의 전기차로 군림하고 있는 테슬라를 필두로 다양한 전기차 출시는 소비자의 전기차 구입을 촉진시키고 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올해 예정인 전기차 보조금 이상으로 전기차 판매가 늘어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

문제는 그 많은 전기차 충전을 어디서 하느냐가 불거지고 있다. 정부에서도 올해는 공공용 급속충전기 확대를 통하여 부족한 충전기를 보급하겠다고 선언하였으나 정답은 아니라 하겠다.

전기차의 충전은 심야용 완속 충전을 해야 충전 전기비도 가장 저렴하고, 잉여전력을 이용함으로 원만한 전력수급 측면에서도 최적이기 때문에 최적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완속 충전을 하면 배터리 수명이 늘어난다.

급속 충전은 원래 목적이 장거리를 이어서 갈 수 있는 연계 충전 또는 비상 충전이 목적이다.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일반 주유소와 같이 큰 길거리에서 눈에 띠는 곳, 고속도로 휴게소나 관광지 등에 공공용 급속 충전기가 설치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앞으로 정부가 양적 팽창과 더불어 한국형 질적 관리가 요구되는 이유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전기차 보급 활성화 더불어 필수적으로 충전 인프라를 얼마나 잘 구비하여 궁합을 맞추는 가가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정부가 고민해야 하는 이유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 전기차 성공을 위한 핵심은 도심지 거주의 약 70%를 차지하는 아파트에서의 충전 인프라 구축이다. 아파트의 충전 인프라 성공이 국내 전기차 활성화의 성공 여부를 좌우할 것이다.

현재는 기존 아파트 공용 주차장의 경우 좁은 주차장 면적으로 별도로 충전기를 설치하는 경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전기차를 운용하는 거주자는 당연히 설치해달라고 하고 있고, 전기차가 없는 거주자는 몇 명의 특별 혜택을 위하여 좁은 주차장 면적을 주기 어렵다고 하고 있다.

여기에 충전된 전기차를 이동주차하지 않는 문제, 일반 차량을 충전 주차시설에 불법으로 주차하는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 주차장의 벽에 장착되어 있는 일반 콘센트를 이용하여 이동용 충전기를 활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어서 전국에 10만 군데 이상 등록된 RFID 딱지가 붙어 있다.

그러나 이 시설도 민간 충전 인프라에 한전의 기본요금 부과로 정책 활성화에 역행하고 있고, 콘센트 자체도 적어서 전체를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과연 아파트 충전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방법은 있다. 좁은 주차장에 강제로 구분하여 충전기를 설치하기 보다는 기존 주차 시설에 어떤 전기차가 주차하여도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이다. 즉 4~5칸의 주차 공간 마다 바닥 매립식이나 벽에 배선연장을 통하여 방수 콘센트 등을 다수 설치한다면 전기차를 어떤 곳에 주차하여도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기차 트렁크에 넣어둔 수 미터 길이의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한다는 것이다, 케이블 자체에는 기존 이동용 충전기와 같이 휴대형 디지털 계량기가 탑재되고 충전 이후에는 후불식 비용을 부과시키는 방법이다. 선로 공사비는 약 50% 정부가 보존하고 그 비용은 앞서 언급한 문제가 큰 충전기 기본요금 부과 비용 등을 활용하거나 기존 지원하고 있는 충전 인프라 보조금을 일부 나누면 해결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 이동용 충전기를 여러 개의 콘센트 분산을 통하여 해결하는 방법인 만큼 시범 사업하기에도 좋은 사례일 것이다. 당장 대표적인 아파트를 대상으로 시범사업 한다면 전국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해결방법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올해부터 환경부의 보조금 차등화 지금으로 자동차 제작사의 전기차 구입비용을 낮추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모습은 바람직한 정책으로 자라잡고 있어서 더욱 앞으로가 기대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아파트 등 충전기 정책에 대한 고민을 더욱 가미한다면 대표적인 성공 정책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확신한다.

앞서와 같은 아파트 충전기 사례를 적용한다면 기존 입주자간의 충전 문제도 해결하면서 전기차 충전에 대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대한민국의 특성인 집단 거주지인 아파트에 대한 충전기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다면 국내 전기차 활성화에는 한계가 크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면서 해결할 수 있는 단초가 되기를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