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 현상으로 100년 후 난대 상록성 식물이 한반도 점령
상태바
온난화 현상으로 100년 후 난대 상록성 식물이 한반도 점령
  • carnews
  • 승인 2013.04.04 16: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반도에서 온난화 현상이 지속될 경우 100년 후에는 한반도 전역에서 사계절 내내 푸른 잎이 달린 식물들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예측결과가 나왔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이상팔)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 제공하는 미래 기후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실시한 한반도 주요 난대 상록성 식물※※ 3종의 분포 미래예측 연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이자 주요 난대 상록성 식물인 후박나무, 참식나무, 밥풀고사리를 대상으로 2012년부터 일본 산림총합연구소(FFPRI)와 2012년부터 공동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 최근 가속화 되는 기후변화가 지속될 경우 100년 후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난대 상록성 식물자원이 한반도 전역으로 확대 분포하게 될 것으로 나타났다.

난대 상록성 식물자원의 생육 적지와 생육 한계지를 통해 본 후박나무, 참식나무, 밥풀고사리의 잠재 생육지는 2050년께 이미 휴전선을 넘어 황해도 이북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정된다.

2100년께에는 해안가를 따라 더욱 북상해 중국 국경지대에까지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미 경주, 대구, 나주지방 등 한반도 내륙지역까지 분포하는 송악, 마삭줄, 사스레피나무 등의 난대 상록성 식물은 100년 후 잠재 생육지가 북한지역 대부분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정돼, 온난화 현상이 지속될 경우 100년 후 한반도 전역에서 난대 상록성 식물을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특히, 온난화 등 지구 기온상승으로 한반도에서 난대 상록성 식물들의 생육지가 점차 확대될 경우 기존의 온대성 식물자원들과 심각하게 경쟁하게 될 것으로 예상됐다.

향후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피해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장기적인 미래예측 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결과의 일부는 국제 식물연구 SCI※ 학술지인 ‘Journal of Forest Research’에 발표될 예정이며 기후변화에 의한 동아시아 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 방향 제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기후에서 난대 상록성 식물의 잠재 생육지 예측결과는 향후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지역 생물자원의 경제적 가치창출을 위한 계획수립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생물자원관은 2011년부터 기후변화가 한반도 생물종 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취약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해 종분포모델*을 이용한 분포예측 및 감시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일본의 우수한 생물다양성 연구 전문기관인 일본 산림총합연구소와 분석 대상종의 분포, 생육환경 및 기후요소 정보의 공유와 미래예측 분석기술에 대해 긴밀히 협력했다.

기후적으로 제한된 생육범위를 갖는 생물의 경우에 일정지역의 분포정보로만 분석을 하면 예측결과가 과소/과대평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주변국과의 분포정보 공유가 필수적이다.

향후 생물자원관은 일본 산림총합연구소와 지구 온난화와 빈번한 극한 기후현상(Extreme weather events)*으로 인한 한반도 생물자원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마련이 시급함을 고려해 우선적으로 사회적인 관심이 높고 기후변화 적응정책 마련이 시급한 생물자원을 중심으로 정보 공유 및 연구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상청에서 제공될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해 추가 비교분석도 수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일 국가 간의 기후변화 적응 국제협력과 공동연구를 보다 활성화하고, 나아가 동아시아 생물다양성 보호 정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환경부로고.jpg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