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018년 1월 수출입 동향
상태바
산업부, 2018년 1월 수출입 동향
  • 교통뉴스 민준식 부장
  • 승인 2018.02.01 1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월 수출 492.1억달러(+22.2%)
    수입 454.9억달러(+20.9%)
 
 
1. 1월 수출입 동향 개요
 
(금액) 1월 수출 492.1억달러(전년동기대비 +22.2%), 수입 454.9억달러(+20.9%), 무역수지 37.2억달러 흑자 기록(72개월 연속 흑자)
 
 ㅇ 1월 수출은 15개월 연속 증가('11.12월 이후 73개월만), 1월 수입도 15개월 연속 증가('12.2월 이후 71개월만)
 
< 1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 수출입증감률 추이(%) >                        < 무역수지(억달러) >
(일평균 수출) 일평균 수출금액은 20.5억불, 9.5% 증가하여 14개월 연속 증가('11.12월 이후 73개월만)
 
   * 일평균 수출액(억불) : ('17.8)19.6→(9)23.5→(10)24.9→(11)20.7→(12)21.8→('18.1)20.5일평균 수출증감률(%) : ('17.8)17.4→(9)20.6→(10)33.4→(11)9.6→(12)18.5→('18.1)9.5
 
 ㅇ 선박 제외 일평균 수출금액은 19.5억불, 10.0% 증가하여 15개월 연속 증가('12.4월 이후 69개월만)
 
   *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액(억불) : ('17.8)18.6→(9)22.1→(10)23.1→(11)20.4→(12)20.7→('18.1)19.5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증감률(%) : ('17.8)21.1→(9)20.3→(10)31.6→(11)16.9→(12)18.2→('18.1)10.0
 
(단가․물량) 수출 단가는 14개월 연속, 물량은 3개월 연속 증가
 
    * (단가) 반도체․철강․석유화학․석유제품 등 단가 상승 영향
    * (물량) 일반기계․석유제품․섬유 등 물량 상승 영향
(원화표시 수출) 전월 소폭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10.0%)
     *  원/달러 환율(₩/$)  :  ('17.1월) 1,185.1  →  ('18.1월) 1,066.7(△10.0%)
 
 
2. 특징 및 평가
 
□ 1월 수출은 역대 1월 수출 중 최대 실적*(기존 1위 : '13.1월, 456.7억 달러)이며, 전년도 기저효과('17.1월, +11.0%)에도 불구하고 15개월 연속 수출 증가, 지난해 9월 이후 4개월만에 두 자릿수 증가하는 등 수출 상승세 지속
 
    * 역대 1월 수출 상위기록(억 달러) : (2위)456.7('13.1월), (3위)455.6('14.1월)
 
 ㅇ 1월 수출 증가는 선진국․개도국 동반 성장, 세계 제조업 경기 호조세 지속, 유가 및 주력품목 단가 상승 등에 기인

 ㅇ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일반기계 등 9개 품목 수출 증가, 주력품목내 고부가가치 품목 수출 증가세 지속, 對중국․아세안․인도 수출이 역대 1월 수출 중 최대 기록 경신, 對아세안․중남미․인도․CIS 등 “남북 교역축” 신흥시장에 대한 수출도 증가(수출비중 30.1%)하여 시장 다변화 진전 지속
 
   - 품목별로는,
❶13대 주력품목 중 9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였고, 9개 품목 모두(반도체․일반기계․석유제품․석유화학․컴퓨터․철강․섬유․자동차․선박) 수출 두 자릿수 증가,
❷반도체(96.9억 달러, +53.4%)․일반기계(44.5억 달러, +27.8%)․석유화학(42.0억 달러, +18.4%)․컴퓨터(8.9억 달러, +38.6%) 역대 1월 수출 중 최대 실적, 반도체는 역대 2위 수출 실적 기록
 
   - 특히, MCP(24.8억 달러, +112.3%, 16개월 연속 증가)․OLED(7.0억 달러, +17.2%, 20개월 연속 증가)․SSD(6.0억 달러, +79.3%, 19개월 연속 증가) 수출 두 자릿수 증가세 지속, SSD 수출 사상 최대․MCP 수출 증가율 사상 최대(기존 1위 : 86.9%, '17.10월)로 주력품목 내 고부가가치화 진전
 
 ㅇ 지역별로는 전(全) 지역 수출 증가, 對중국․아세안․인도 수출이 각각 역대 1월 수출 중 최대 실적 기록
 
   - 對중국(133.9억 달러, +24.5%) 수출은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 對아세안(83.2억불, +37.2%) 수출은 1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對인도․중남미․CIS 수출도 증가세가 지속되어 “남북 교역축” 신흥시장(아세안․중남미․중동․인도․CIS)에 대한 수출비중은 지난해 1월 28.5%에서 올해 1월 30.1%로 상승
 
    * 수출비중('17.1월→'18.1월p,%) : 중국(26.7→27.2), 미국(12.3→10.5), 아세안・중남미・중동・인도・CIS(28.5→30.1)
 
 
3. 품목별․지역별 수출 동향
 
(주력품목)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기계․석유화학․석유제품 등 9개 품목 수출 증가, 반도체․일반기계․석유화학․컴퓨터 역대 1월 수출 중 최대
 
    * 13대 품목 수출증감률(%) : ('17.8)14.9→(9)37.8→(10)7.6→(11)8.0→(12)9.0→('18.1)21.2
(증가) IT경기 호조세 지속, 수출단가 상승, 글로벌 수요 확대, 조업일수 증가 등으로 반도체․컴퓨터․철강․일반기계 등 9개 품목 수출 증가
 
  ㅇ (반도체) 서버용 수요(D램) 및 스마트폰․SSD용 수요 강세(낸드)로 16개월 연속 증가하였으나, 반도체 비수기 영향으로 전월 대비 증가율은 감소
 
    * D램 현물가격(DDR 16Gb, $) :('17.10)4.71→(11)4.84→(12)4.90→('18.1e)4.90NAND 현물가격(MLC 64Gb, $) : ('17.10)4.35→(11)4.14→(12)4.00→('18.1e)4.05

    * 증감률(%) : ('17.7)57.8→(8)56.7→(9)69.9→(10)69.6→(11)65.2→(12)64.9→('18.1)53.4
 
  ㅇ (컴퓨터) 신학기 PC 및 고용량 서버 수요 증대 영향으로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미국․홍콩․일본 등으로 수출 증가, 10개월 연속 증가
 
    * SSD 수출증감률(%) : (`17.8)57.6→(9)42.7→(10)26.9→(11)38.2→(12)31.0→('18.1)79.3
    * 1.1-20일 SSD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중국)0.9(59.9%), (미국)0.8(15.7%), (홍콩)0.6(136.2%), (일본)0.1(419.4%)
    * 컴퓨터 증감률(%) : ('17.7)11.2→(8)15.9→(9)20.2→(10)2.3→(11)18.0→(12)13.4→('18.1)38.6
 
  ㅇ (철강) 중국의 환경정책 강화․동절기 감산 등에 따른 철강재 단가 상승 등으로 철강 수출 10개월 연속 증가
 
    * 글로벌 철강가격지수(CRU, '94=100) : ('17.5)158.5→(11)172.5→('18.1e)181.1
    * 증감률(%) : ('17.7)10.5→(8)13.4→(9)106.6→(10)4.4→(11)4.2→(12)8.6→('18.1)17.4
 
  ㅇ (석유화학)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중국내 한파로 인한 설비 가동률 저하․춘절 연휴 대비 재고 수요 증가 등으로 단가․물량 모두 증가, 16개월 연속 증가
 
    * 국제유가(두바이유, $/b) : ('17.1) 53.7→('18.1) 66.2 (+23.3%)
    * 수출단가($/톤, 전년비%) : ('17.1) 1,163 → ('18.1e) 1,260 (+8.4%)수출물량(천톤, 전년비) : ('17.1) 3,070 → ('18.1e) 3,373 (+10.6%)
    * 증감률(%) : ('17.7)13.6→(8)17.8→(9)41.6→(10)6.2→(11)18.3→(12)21.6→('18.1)18.4
 
  ㅇ (석유제품)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및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로 수출물량도 증가하여 30% 이상 수출 증가, 15개월 연속 증가
 
    * 수출단가($/B, 전년비%) : ('17.1) 63.2 → ('18.1e) 74.1 (+17.2%)
    * 증감률(%) : ('17.7)1.8→(8)38.6→(9)53.3→(10)13.0→(11)42.3→(12)29.9→('18.1)27.7

  ㅇ (일반기계) 미국․중국 등 주요국 경기 회복에 따른 설비투자 증가 및 인프라 투자 확대, 아세안 내(內) 자원개발 증가 등으로 건설기계․공작기계 중심으로 20% 이상 수출 증가
 
    * 1.1-20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건설기계)2.9(21.6%), (공작기계)1.4(26.1%)(미국 공작기계)1.6(13.0%), (중국 건설기계)0.5(126.5%)
    * 증감률(%) : ('17.7)0.9→(8)13.2→(9)23.0→(10)△7.4→(11)19.4→(12)11.0→('18.1)27.8
 
  ㅇ (자동차) 북미지역 판매가 부진하나, 조업일수 증가 및 유럽(친환경차)․CIS(경기 호조)․중동(사우디 여성운전 허용) 판매 호조 등으로 전년대비 수출 증가
 
    * 1.1-20일 수출액/증감률(억불) : (EU)2.9(4.6%), (CIS)0.7(106.3%), (미국)5.7(△17.9%)
    * 증감률(%) : ('17.7)8.5→(8)25.4→(9)59.9→(10)△13.0→(11)3.0→(12)△34.3→('18.1)13.4
 
  ㅇ (섬유) 조업일수 증가 및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폴리에스터 단섬유(PSF)의 일종인 저융점 섬유(LMF) 수요 확대로 원료 및 사 수출이 증가하여 전체 섬유 수출 증가
 
    * LMF(Low Melting Fiber) : 자동차 내장재, 매트리스, 소파 커버 등 비의류용으로 사용
    * 1.1-20일 PSF 수출액(백만 달러, 전년비%) : 63, +43.6
    * 1.1-20일 수출단가($/kg, 전년비%) : 원료/사(2.0, +9.4), 직물(8.4, +4.6), 제품(5.9, +8.7)1.1-20일 수출물량(천톤, 전년비%) : 원료/사(79.0, +12.9), 직물(50.4,+2.3), 
                                              제품(29.2, △4.9), 섬유류(158.5, +5.8)
    * 증감률(%) : ('17.7)△8.2→(8)4.6→(9)14.5→(10)△19.0→(11)2.6→(12)△1.4→('18.1)20.2
 
  ㅇ (선박) 고가의 LNG선(2척, 3.9억 달러) 및 지난해 통관 연기된 해양플랜트(원유생산시설, 1척) 등 통관으로 수출 증가
 
     * 증감률(%) : ('17.7)208.1→(8)△25.1→(9)39.6→(10)28.8→(11)△77.1→(12)14.4→('18.1)12.0
 
(감소) 최종재 판매 부진, 기업 사업전략 변화, 경쟁 심화, 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차부품․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가전 수출 감소
 
  ㅇ (차부품) 경기 회복세인 對CIS․인도 수출은 증가세이나, 국내 완성차의 북미․아시아 시장 판매 부진으로 차부품 수출 감소 지속
 
    * 1.1-20일 수출액/증감률(억불) : (CIS)0.83(4.9%), (인도)0.55(2.4%)(미국)2.7(△18.3%), (중국)1.7(△41.0%), (아세안) 0.4(△3.0)
    * 증감률(%) : ('17.7)△13.4→(8)△0.2→(9)△6.5→(10)△29.0→(11)△10.9→(12)△17.1→('18.1)△6.5

  ㅇ (디스플레이) 모바일 중심의 수요 증가로 OLED 수출은 증가세이나, LCD 가격 하락․생산량 축소 영향으로 전체 디스플레이 수출 감소
 
    * LCD 가격('17.1→'18.1e, $) : [50”]173→127(△27%), [21.5”]55→47(△14%)OLED 출하량('17.1→'18.1e, $) : [모바일]35→49(42%), [TV]992→906(△8.7%)
    * 증감률(%) : ('17.7)6.2→(8)10.6→(9)10.1→(10)4.3→(11)2.3→(12)△11.5→('18.1)△7.6
 
  ㅇ (무선통신기기) 글로벌 경쟁 심화, 3월 신형 스마트폰 출시 전(前) 물량 조절(추정), 해외생산 비중 확대 등으로 수출 감소세 지속
 
    * '18.1월 휴대폰 수출/증감률(억 달러, %) : (완제품)3.9(△29.8), (부분품)10.0(△4.1)
    * 증감률(%) : ('17.7)△27.4→(8)△23.3→(9)△16.0→(10)△29.2→(11)△21.6→(12)△35.9→('18.1)△9.7
 
  ㅇ (가전) 프리미엄 시장 경쟁 심화, 해외생산 확대 등으로 TV 부품을 중심으로 전체 가전 수출 △8.8% 감소
 
    * TV 수출 증감률(%) : (`17.10)△72.5→(11)△62.3→(12)△50.4→('18.1)△23.6
    * 냉장고 수출증감률(%) : (`17.10)△30.1→(11)△28.2→(12)△14.6→('18.1)△15.9
    * 증감률(%) : ('17.7)△29.6→(8)△24.8→(9)△15.7→(10)△41.8→(11)△23.0→(12)△19.3→('18.1)△8.8
 
(유망품목) 5대 유망 소비재는 화장품․의약품 등 전 품목 두 자릿수 증가, MCP․SSD․OLED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 두 자릿수 증가세 지속
 
    * 증감률(%) : (의약품)51.1,  (화장품)55.4,  (농수산식품)22.9,  (패션의류)22.4,  (생활용품)16.2,  (MCP)112.3,  (OLED)17.2,  (SSD)79.3
 
 
【 유망 소비재 】('18.1월 지역별 수출증감률은 1.1-20일 기준)
 
 ㅇ 의약품은 바이오시밀러․완제의약품 중심으로 EU(+72.0%)․중국(+68.1%)․미국(+12.3%) 등에서 크게 증가하여 전월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 1.1-20일 수출/증감률(백만 달러) : (EU)41(72.0%), (중국)12.4(68.1%), (미국)11.6(12.3%)
    * 증감률(%) : ('17.7)△6.4→(8)△10.7→(9)82.7→(10)64.2→(11)53.1→(12)△2.0→('18.1)51.1
 
 ㅇ 화장품은 중국(8개월 연속, +36.2%)․아세안(47개월 연속, +36.0%) 중심으로 급증했으며, 기초화장품․기타화장품 중심으로 증가세 지속, 9개월 연속 증가
 
    * 1.1-20일 수출/증감률(백만 달러) : (중국)121(36.2%), (아세안)31(36.0%)(일본)14(34.2%), (EU)8(23.7%),
    * 증감률(%) : ('17.7)7.4→(8)13.5→(9)26.5→(10)2.7→(11)33.7→(12)24.8→('18.1)55.4
 
 ㅇ 농수산식품은 對중국․베트남․중남미․러시아 등으로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세부품목으로는 면류 외에 참치․명란․대구 등 수산물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체 농수산식품 수출 3개월 연속 증가
 
    * 1.1-20일 수출/증감률(백만 달러) : (면류)30(15.3%), (참치)31(156.4%), (대구)5(132.9%)(중국)56(15.0%), (베트남)25(35.1%), (중남미)21(214.3%)
    * 증감률(%) : ('17.7)5.8→(8)4.7→(9)15.2→(10)△13.1→(11)11.3→(12)8.0→('18.1)22.9
 
 
【 고부가가치 품목 】
 
 ㅇ MCP(복합구조칩 집적회로)는 자동차․헬스기기․웨어러블 기기 등 반도체 적용범위 및 용량 지속 확대로 중국 등 대부분 지역 수출 증가, 사상 최대 증가율 기록, 1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24.8억 달러, +112.3%)
 
    * 1.1-20일 지역별 수출액/증감률(억불) : (중국)5.6(151.8%), (아세안)1.5(386.0%)
    * MCP 증감률(%) : ('17.7)31.7→(8)29.3→(9)58.9→(10)86.9→(11)57.3→(12)49.3→('18.1)112.3
 
 ㅇ OLED(유기발광 다이오드)는 모바일용 수요 확대 및 프리미엄 TV 수요 증가 등으로 19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7.0억 달러, +17.2%)
 
    * OLED 증감률(%) : ('17.7)12.1→(8)28.6→(9)56.2→(10)72.3→(11)50.0→(12)28.3→('18.1)17.2
 
 ㅇ SSD(차세대 저장장치)는 기업용 서버를 중심으로 중국․미국 등으로 수출 급증세가 지속되어 20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6.0억 달러, +79.3%)
 
    * SSD 평균 수출단가 증감률(%) : ('17.8)55.1→(9)17.8→(10)29.1→(11)18.9SSD 평균 수출물량 증감률(%) : ('17.8)1.6→(9)20.9→(10)-1.7→(11)16.3
    * SSD 증감률(%) : ('17.7)79.3→(8)57.6→(9)42.7→(10)26.9→(11)38.2→(12)31.0→('18.1)79.3
 
(지역별) 전(全) 지역으로의 수출 증가, 對중국․아세안․인도 수출이 각각 역대 1월 수출 중 최대 실적 기록
 
  ※ '18.1월 특정 품목의 지역별 수출증감률은 1.1-20일 기준
 ㅇ 對중국 수출(133.9억 달러, +24.5%)은 6개월 연속, 對아세안 수출(83.2억 달러, +37.2%)은 1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ㅇ 對아세안․중남미․인도․CIS 수출이 증가하여, 1월 남북 교역축 신흥시장 수출 비중은 30.1%로 전년대비 증가
 
   * 수출비중('17.1월→'18.1월p,%) : 중국(26.7→27.2), 미국(12.3→10.5), 아세안・중남미・중동・인도・CIS(28.5→30.1)
 
◇ 현지 제조업 경기 호조세에 따른 중간재 수출 증가 등으로 對중국(15개월 연속)․아세안(16개월 연속)․CIS(3개월 연속)․중남미(3개월 연속) 등 수출 증가
 
  ㅇ (중국) 중국 정부의 IT 지원정책* 및 반도체 사용범위 확대, 첨단 제조업 육성 등으로 반도체․컴퓨터․일반기계 등 수출이 증가하여 20% 이상 증가, 15개월 연속 증가
 
    * 중국 정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 ‘중국 제조 2025’와 ‘인터넷 플러스 전략’ 추진중
    * 수출증감률(%) : ('17.7)6.5→(8)15.6→(9)23.6→(10)13.5→(11)20.3→(12)14.8→('18.1)24.5
    * 1.1-20일 수출(억 달러) : (반도체)26.9(67.4%), (일반기계)7.5(31.2%), (석유제품)4.4(17.2%)
 
    - 유망소비재 중, 화장품은 8개월 연속․의약품은 7개월 연속 증가세이며, 패션의류는 '17.6월 이후 7개월만에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ㅇ (미국) 자동차․차부품(완성차 소비 트렌드 변화 등)․가전(미국 현지생산 확대) 등 수출 감소에도 불구, 중국산 석유화학 내수 소비 증가 및 제조업 경기 호조에 따른 석유제품․기계 등 수출 증가로 전월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 S&P 케이스실러(Bloomberg) : '17.10월 195.63으로 사상 최대, '17.5월부터 190 돌파
    * 미국 제조업 PMI(Bloomberg) : ('17.1Q)57.0→(2Q)55.8→(3Q)58.6→(10)58.9
    * 수출증감률(%) : ('17.7)7.0→(8)23.5→(9)28.6→(10)△12.5→(11)11.4→(12)△7.7→('18.1)4.8
    * 1.1-20일 수출(억 달러) : (자동차)5.7(△17.9%), (차부품)2.7(△18.3%), (가전)1.0(△20.4),(석유화학)1.4(97.6%), (컴퓨터)1.1(4.7%), (공작기계)0.2(13.0%)
 
    - 對미국 수출 감소, 반도체 제조용 장비(+71.0%)․천연가스(+323.4%)․육류(+14.7%)․석유제품(+1,025.9%) 등 수입이 22.4% 급증하여 1월 對미국 무역흑자는 '17.1월 대비 △67% 감소한 3.2억 달러
 
    * 對미국 무역수지/증감률(억 달러) : ('17.1)9.7 → ('18.1)3.2(△67.3%)
    * 1.1-20일 수입액/증가율(억 달러) : (반도체 제조용장비)4.2(71.0%), (천연가스)2.1(323.4%), (육류)1.7(314.7%), (석유제품)1.3(1,025.9%)
 
  ㅇ (아세안) 글로벌 IT경기 호황․유가 상승․아세안 국가 인프라 투자 증가 등으로 반도체․석유제품․디스플레이․일반기계 등 수출이 증가하여 30% 이상 증가, 1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 수출증감률(%) : ('17.7)31.4→(8)23.8→(9)44.9→(10)17.9→(11)14.0→(12)29.5→('18.1)37.2
    * 1.1-20일 수출(억 달러) : (반도체)12.4(72.4%), (석유제품)6.7(45.6%), (디스플레이)4.8
(152.7%)(베트남)29.1(50.7%), (싱가포르)7.1(49.4%), (필리핀)6.0(36.9%)

  ㅇ (베트남) 현지 생산기지向 반도체․디스플레이․일반기계 수출 호조, 건설경기 호황으로 철강 수출이 증가하여 50% 이상 증가, 24개월 연속 증가
 
    * '17년 베트남 GDP는 6.81% 증가하여 '11년 이래 최고치 기록(베트남 통계청)
    * 수출증감률(%) : ('17.7)29.1→(8)36.5→(9)69.3→(10)33.9→(11)46.2→(12)27.2→('18.1)53.1
    * 1.1-20일 수출(억 달러) : (반도체)6.7(123.9%), (디스플레이)4.7(170.5%), (일반기계)2.3(10.3%), (석유제품)1.9(41.4%), (철강)1.1(25.2%)
 
  ㅇ (EU) 부품 현지조달 증가․전년도 선박 수출 기저효과에도 불구, 제조업 경기 호조․소비 심리 개선․한국산 제품 인지도 상승 등으로 일반기계․자동차․섬유 등 수출이 증가하여 전월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 제조업 PMI(Bloomberg) : ('17.1Q)55.6→(2Q)57.0→(3Q)57.4→(4Q)59.7
    * 수출증감률(%) : ('17.7)10.3→(8)43.2→(9)21.9→(10)2.6→(11)2.7→(12)△9.2→('18.1)10.5
    * 1.1-20일 수출(억 달러) : (기계)3.8(27.8%), (자동차)2.9(4.6%), (섬유)0.8(10.2%)
 
  ㅇ (일본) 유가 상승 및 공공투자 증가 등으로 석유화학․석유제품․철강 등 수출이 증가하여 두 자릿수 증가, 3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7.7)4.6→(8)4.8→(9)16.2→(10)△12.1→(11)10.3→(12)11.0→('18.1)21.4
    * 1.1-20일 수출(억 달러) : (석유화학)1.0(34.5%), (석유제품)3.0(63.0%), (철강)2.2(11.3%)
 
  ㅇ (인도) 완연한 경기 회복세, 농촌 인프라 개선에 따른 PVC 수요 확대, 자동차 소비 증가에 따른 윤활유 수요 증가 등으로 수출 증가, 3개월 연속 증가
 
    * 인도 제조업 PMI(Bloomberg) : ('17.1Q)51.2→(2Q)51.7→(3Q)50.1→(4Q)52.5
    * 수출증감률(%) : ('17.7)78.2→(8)135.2→(9)20.7→(10)△5.7→(11)5.9→(12)7.1→('18.1)9.5
    * 1.1-20일 수출(억 달러) : (철강)1.1(1.3%), (석유화학)1.4(27.9%), (석유제품)0.4(57.4%)
 
  ㅇ (CIS) CIS 경기 회복세, 러시아 루블화 안정세 및 제조업 육성․건설 프로젝트 증가 등으로 자동차․일반기계․철강 등을 중심으로 50% 이상 증가, 3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7.7)20.8→(8)31.5→(9)40.6→(10)△7.4→(11)13.8→(12)10.8→('18.1)50.3
    * 1.1-20일 수출(억 달러) : (자동차)0.7(106.3%), (일반기계)0.5(26.3%), (철강)0.2(18.3%)
 
  ㅇ (중남미) 브라질 등 역내 주요국 경기 회복에 따른 생산 증가 및 파나마․바하마向 선박 통관으로 선박․일반기계․자동차 등 수출 30% 이상 증가, 3개월 연속 증가
 
    * 브라질 제조업 PMI(Bloomberg) : ('17.1Q)46.8→(2Q)50.9→(3Q)50.6→(4Q)52.4
    * 수출증감률(%) : ('17.7)△7.8→(8)16.3→(9)65.9→(10)△13.0→(11)5.7→(12)7.3→('18.1)34.4
    * 1.1-20일 수출(억 달러) : (선박)3.2(325.2%), (일반기계)1.7(24.7%), (자동차)1.1(18.1%)

  ㅇ (중동) ‘18.1월 걸프협력기구(GCC)내 5% 부가세 도입에 따른 가전․무선통신기기 수출 감소에도 불구, '18.6월 사우디 여성 운전 허용 및 유가 상승에 따른 자동차․석유화학 수출 호조로 '17.9월 이후 4개월만에 증가로 전환
 
    * 수출증감률(%) : ('17.7)△5.6→(8)△0.7→(9)8.5→(10)△34.3→(11)△13.6→(12)△18.6→('18.1)3.1
    * 1.1-20일 수출(억 달러) : (가전)0.5(△27.7%), (무선기기)0.1(△20.7%), (섬유)0.3(△20.5%)(자동차)1.6(20.2%), (석유화학)0.9(4.6%), (컴퓨터)0.1(43.4%)
 
 
4. 가공단계별 수입 동향
 
□ 1월 수입은 ‘12.2월 이후 71개월만에 15개월 연속 증가
 
    * 수입증감률 : (’17.9)22.6→(10)7.9→(11)12.8→(12)13.6→(’18.1)20.9
 
  ㅇ 생산설비 투자 및 국내 생산 확대 등에 따른 반도체 제조용 장비, 컴퓨터 기억장치 수입 증가, 유가 및 원자재가 상승 등에 따른 원유․아연광 수입 증가 등 영향으로 수입 20.9% 증가
 
< 품목별 수입증감률(1.1∼31일 기준, %) >

5. 향후 수출전망
 
□ 글로벌 경기 확장세에 따른 대외 수요 증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세에 따른 주력품목 단가 상승 등 수출에 우호적인 여건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
 
    * '18년 경제성장률 전망(IMF, '17.10→'18.1) : (세계)3.7→3.9, (선진국)2.0→2.3, (신흥개도국)4.9→4.9, (미국)2.3→2.7, (EU)1.9→2.2, (일본)0.7→1.2, (중국)6.5→6.6
    * 글로벌 제조업 PMI(JP Morgan, '18.1) : (’17.9)53.3→(10)53.5→(11)54.1→(12)54.5
    * 반도체 D램 현물가 전망(DDR 16Gb, $) : ('17.4Q)4.85→('18.1Q)4.9→(2Q)4.8→(3Q)4.3→(4Q)4.0
 
 ㅇ 다만,
  ❶보호무역주의 강화(對한국 수입규제, 미-중 무역마찰 등),
  ❷주요국 통화긴축 기조,
  ❸환율 변동성 확대,
  ❹기저효과 약화,
  ❺수주잔량 감소로 인한 선박 수출 감소 등이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

 ㅇ 한편, 2월에는 설 연휴(2.15∼17일)에 따른 조업일수 △2.5일 감소, 기저효과('17.2월, +20.2%) 등이 작용하는 만큼 수출 증가세 둔화 전망
 
□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새해에 들어서도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올해 수출 증가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힘
 
 ㅇ 우선, “전기․자율주행차, IoT 가전, 에너지신산업, 바이오헬스 등 5대 신산업 분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혁신성장 성과의 글로벌 확산을 위해 신(新)남방․신(新)북방 정책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 “신(新)남방 정책을 통해서는,
  ❶아세안에 대해 국가별 특성을 고려한 분야별 맞춤형 협력 강화, 산업․에너지 공적개발원조(ODA) 활용 협력 기반 마련,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추가 자유화 등을 추진하고,
  ❷인도와는 '18년 상반기 중 ‘미래비전 전략그룹’ 신설, ICT․에너지 등 유망산업 협력 및 인적 교류 강화를 추진”하고,
 
  - “신(新)북방 정책을 통해서는,
  ❶동북아 슈퍼그리드 등 9-브릿지(9-Bridge)* 사업 본격 추진, 한-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자유무역협정(FTA) 실무작업반 구성,
  ❷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대상 플랜트․신재생 프로젝트 수주 지원,
  ❸러시아와 4차 산업혁명 기술협력 강화 및 친환경 선박․원격의료시스템 등 첨단분야 진출 확대를 도모하겠다”고 언급함
 
   * 9-브릿지 : 전력, 가스, 조선, 북극항로, 항만․철도, 농업, 수산업, 산업단지
 
 ㅇ 아울러, “보호무역주의 강화, 원화 강세 등 수출 하방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출 마케팅 예산*의 60% 상반기 조기 투입, 중소․중견기업에 무역보험 49조원 지원, 소비재․서비스 등 신규 유망 아이템 집중 육성, 5천개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등을 통해 올해 수출 4% 성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힘
 
    * 지원규모 : ('17) 1,476억원 → ('18) 1,559억원
 
  - “수출 증가세 둔화에 대비하여 2월에는 의료기기․2차전지․소비재 등 총 18회의 해외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수출마케팅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힘
 
    * 2월중 해외전시회 계획 : 영국 소비재 전시회(2월초), UAE 치과기자재 전시회(2월초), 일본 2차전지 엑스포(2월말) 등 총 18건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