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13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규모 7.5조 원
상태바
산업통상자원부,13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규모 7.5조 원
  • carnews
  • 승인 2014.12.29 1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가 국내 바이오기업 971개사를 대상으로 시행한「2013년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결과,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개요) 국가표준 KS J 1009(바이오산업분류체계)에 따라 기업과 제품을 분류하고 바이오산업 기업들(971개 기업)을 직접 실태조사(조사실시기간 : ‘14.4.14.~’14.11.21.)


 ‘13년도 바이오산업 생산규모는 총 7조 5,238억 원으로 ’12년(7조 1,445억원) 대비 5.3%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09년~‘13년) 1.4배 수준으로 증가(5.3조원→7.5조원, 연평균 증가율 8.9%) 했다.


 ‘13년도 바이오산업 분야별 생산규모는 바이오식품(40.2%)과 바이오의약(36.9%)이 전체의 77.1%를 차지한다.


바이오식품 분야에서는 사료첨가제(63.6%)와 식품첨가물(17.7%) 비중이, 바이오의약 분야에서는 혈액제제(21.6%)와 백신(19.9%) 비중이 높다.


생산 증가율로는 바이오전자(22.5%)*와 바이오화학(11.8%)**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바이오센서***의 국내판매 및 수출 증가에 따라 바이오전자산업의 전년대비 증가율이 가장 큰 폭으로 나타났다.


바이오화장품 및 생활화학제품 국내판매량 증가와 바이오고분자 수출 증가로 인해 바이오화학 생산규모 증가했다.

   * 바이오전자 : 전자기술과 바이오기술을 이용하여 의료?분석 목적의 제품을 제조하는 산업
   ** 바이오화학 : 식물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산업
   *** 바이오센서(Biosensors) : 생체가 갖는 여러 기능을 응용한 검출장치


< 바이오산업 분야별 생산규모 변화 추이(‘12년~’13년) >

(단위 : 억원, %)

구분

2012년

비중

2013년

비중

증감률

바이오의약

27,087

37.9

27,754

36.9

2.5

바이오화학

5,030

7.0

5,622

7.5

11.8

바이오식품

28,579

40.0

30,211

40.2

5.7

바이오전자

1,238

1.7

1,517

2.0

22.5

기타

9,511

13.3

10,135

13.5

6.6

전체

71,445

100.0

75,238

100.0

5.3


수출규모는 ‘13년 3조 1,664억원으로 ’12년(3조 475억원) 대비 3.9% 증가하였으며, ’09년~‘13년 연평균 6.7% 증가하여 동 기간 연평균 수입증가율 2.1%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13년 수입규모는 1조 5,095억원)


분야별로는 바이오식품 1조 6,821억 원(53.1%), 바이오의약 1조 1,386억 원(36.0%), 바이오전자 1,159억 원(3.6%) 순서를 보였다.


전년대비 수출증가율은 식품첨가물(69.5%), 기타바이오의약품(36.8%), 건강기능식품(31.6%), 백신(21.7%), 바이오센서(15.5%) 순서다.


바이오산업 내수규모는 ‘13년 5조 8,669억 원으로 ’12년(5조 5,281억 원) 대비 6.1% 증가하였으며, ‘09년(4조 2,367억 원) 대비 38.5% 성장했다.


생산.jpg


이 외에 바이오산업 연구개발비는 ‘13년 1조 1,651억원으로 ’12년(1조 79억원) 대비 15.6% 증가했다. 


 ‘13년 종사인력은 연구(11,605명), 생산(12,205명)과 영업/관리(14,387명) 인력을 포함하여 38,197명으로 ‘12년(37,570명) 대비 1.7% 증가했다.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규모를 보면 그동안 바이오산업의 주력분야인 바이오의약품과 바이오식품분야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융합분야인 바이오전자와 바이오화학분야는 각각 두 자리 수의 성장세를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러한 기업 및 시장상황에 맞춰 헬스케어, 유헬스 등 바이오융합분야의 지원 확대와 더불어, 바이오화학산업화촉진기술개발사업 지원과 산학연 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신성장분야에 대한 지원도 적극 추진한다.


통계조사결과 세부내용은 산업통상자원부(www.motie.go.kr)-산업통상자원통계포털 및 한국바이오협회(www.koreabio.org)홈페이지-자료실-통계부문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교통뉴스 이서영 기자]

산업통상자원부.jpg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