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신 높은 경기도 수돗물...그냥 마시는 관리자 고작 10%

수돗물 관련민원 2018년에도 2,700여건에달해 경기연, 안전한수돗물 ‘노후 관로 교체 등 시급’ 보통·불신 응답자 56% ‘취수원오염’이라고지목 수돗물 안전성 제고방안 연구발표...과감한지적 보급률 98.5%인데 상수도업무 담당기술직감축 ‘경기맑은물 연구소’설립등 수돗물 안전성수립

2021-09-07     교통뉴스 김경배 교통전문위원
불신의

어느 날 갑자기 인천지역에서 터진 안심할 수 없는 수돗물 의혹 이후 이 사태는 좀처럼 가라앉는 버블로 이어지는 가운데 경기도 31개 시·군이 운영하는 수도시설로 확산되고 있다.

경기도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10명 중 1명만이 수돗물을 직접 음용하는 상황이라고 해, 경기도민이 생각하는 수돗물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높은 상태임을 지적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기 맑은 물 연구소’ 설립과 ‘노후 관로’의 교체 등을 꼽았다.

경기연구원은 국내 상수도 관리 동향과 수돗물 안전을 위협하는 다수의 요인을 분석한 근거를 토대로 한 ‘경기도 수돗물 안전성 제고 방안 연구’보고서 발간을 통해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2018년 경기도에 초점을 둔 보고서에는 경기도 수도망은 97%인 전국 상수도 보급률보다 1.5% 높은 98.5% 시설을 갖췄고 이는 88%에 지나지 않던 2000년과 비교하면 10.5%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지구온난화현상 원수인 강물 녹조 등 유해성 키워

하지만 불결한 원수 관리와 노후된 공급 관로 등으로 색상이 붉거나 혼탁해지는 ‘수돗물 적수’ 현상과 벌레가 섞여 나오는 ‘유충 사태’ 등이 언론에 집중 공격받게 됐다. 하지만 국민에게 신뢰받는 음용수 공급 책임을 져야 할 ‘환경부’는 고삐만 당길 뿐 각 가정을 향해 뻗어나간 수도망 개선에는 정작 뒷짐을 쥘 수밖에 없는 위치다.

이와 관련된 수돗물 관련은 유독 지난해만 있었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더 그렇다. 지난 2018년에도 2,700여 건의 수질 관련 민원이 접수되는 등 상수도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점점 커지는 이런 우려는 기우가 아닌 현실로 나타나면서 수도시설을 직접 운영·관리하는 직원도 불안한 마음을 갖게 했다.

2020년 하반기 경기도 31개 시·군 수도시설 운영자 129명에게 수돗물을 음용한다면 어떻게 마시는지를 확인하는 질의에서, 전체 10%만이 직접 음용한다고 답했고, 53%는 정수기 이용, 37%는 반드시 끓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아니라 수돗물의 신뢰 여부에 대해서는 7%가 ‘믿지 못한다’고 답했고, 48%는 보통, 45% 만이 신뢰하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중요시할 점은 ‘보통 및 불신’으로 응답한 대상자 56%가 털어놓은 이유는 ‘취수원 오염’이라고 입을 모은 데 있다.

 

10% 음용, 53% 정수기, 37% 끓이는 수돗물 신뢰 7% 불신

조사한 연구원은 수도사업자인 시․군의 운영인력 문제를 비롯 전문성 부족과 저조한 노후 관로 교체 지연 등을 수돗물 불신 원인으로 지목했다.

지난 2018년 상수도 업무를 담당하는 시·군의 직원 수는 1,726명이지만 이 중 기술인력은 53.9%인 930명에 불과했고, 2000년에는 13.9%가 감소되면서 증원돼야 할 기술인력은 오히려 1,080명으로 줄었다.

게다가 같은 기간 정수장 시설용량은 27만2,500㎥/일, 관로 연장은 1만1,390㎞ 증가하다 보니 폭주하는 업무량 소화에서 기술직의 업무 효율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졌다는 게 연구원 측 입장이고, 세심한 손길을 기대할 수 없던 상황에 더 해 노후관로 교체까지도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특히 20년 이상 경과 관로 1만1,540㎞ 연장이 필요한 2018년도는 31.8%에 해당하는 전체 관로 3만6,271㎞ 교체를 의미하는데도 당시 시·군의 상수도관 교체율은 0.3%에 불과했다.

 

수돗물 정수관리인원 줄고, 노후관로 교체 3%

수돗물 안전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제시된 이 보고서는 상수도 관리 권한이 시장·군수 중심인 상황에서 경기도가 수도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도법’ 과 ‘지방공기업법’ 개정 건의를 우선 지목했고, 지방상수도 시설의 현대화와 운영효율성 제고를 위한 ‘경기도 수도종합계획’ 수립을 권장했다.

서울시의 ‘서울물연구원’처럼 수질사고 예방과 대응을 위한 ‘경기 맑은 물 연구소’ 설립과 ‘상수도 균형 발전 기금’ 조성을 통한 안정적인 시설 투자 등을 언급했다.

조영무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고도화된 정수처리를 비롯 운영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전문직을 도입하는 한편 부족한 인력과 운영효율 향상 차원의 자동화와 모니터링 설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3% 정도로 아주 저조한 경기도 고도정수처리율 역시 “고도정수처리시설로 교체가 시급하고, 서울시나 일본처럼 ‘수도직재’ 신설로 운영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교통뉴스=김경배 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