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전 일상회복점수 51.8점⋯의료계 집단휴진 우려
상태바
코로나 이전 일상회복점수 51.8점⋯의료계 집단휴진 우려
  • 교통뉴스 데스크
  • 승인 2020.08.07 1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코로나19 위험인식조사 결과 발표
응답자들 일상의 절반 정도 회복됐다 답해
의사협회, 의과대학 정원증원 등 반대 휴진
사진=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코로나19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한자릿수로 떨어졌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일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명, 해외유입 사례는 11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수는 1만4519명이라고 밝혔다. 지역 발생은 서울 6명, 경기 3명으로 수도권에서 확진자가 나왔고 해외유입 확진자 11명 가운데 5명은 검역과정에서 확인됐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 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민은 코로나 이전의 일상을 절반 정도 회복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은 지난달 17일부터 24일까지 경기도 거주 성인 남녀 2523명을 대상으로 ‘경기도 코로나19 위험인식조사’를 진행, 7일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코로나 이전의 일상을 얼마나 회복했는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들은 100점 만점에 평균 51.8점을 기록했다. 소득 수준에 따라 일상회복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200만원 미만 집단의 회복 점수는 47.6점으로 7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의 53.6점보다 크게 낮았다. 특히 코로나로 일자리를 잃었다고 답한 응답자들의 일상회복 점수는 38점에 불과했다.

코로나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들은 평균 7.14점으로 부정적 영향이 컸다. 성별로는 여성이 7.24점으로 남성 7.04점 보다 높았다.

주변에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을 보면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불안이 49.8%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분노 23.9%, 혐오 18.9%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는 커피 전문점에서 집단 감염 사례가 나오면서 카페에서 음료를 마시기 전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는 내용의 마스크 착용 수칙을 구체화하기도 했다.

 

 

코로나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한 가운데 의과대학 정원 증원 등 정부 보건의료 현안 반대를 이유로 대한의사협회가 14일 집단 휴진을 선언, 의료 공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경기도는 시군을 통해 의원급 의료기관에 집단휴진 예정일에 진료명령을 내리는 등 긴급대책마련에 나섰다. 도는 행정1부지사 주재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의료계 집단휴진 대비 비상진료대책을 논의했다.

먼저 도는 7178개 의원급 의료기관에 행정조치를 하도록 각 시군에 요청했다. 도는 이날 31개 시군에 의료계 집단휴진에 대비해 ‘집단휴진 예정일 진료명령’, ‘휴진신고를 위한 휴진신고명령’, ‘집단휴진이 확실할 경우 업무개시명령’ 등 3가지 행정조치를 취해 달라는 내용의 행정조치 요청 공문을 보냈다.

또한 행정명령과 별도로 집단휴진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비상상황에 대비 도내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352곳에 평일진료 시간 확대와 주말·공휴일 진료를 요청하고, 91개 응급의료기관과 응급의료시설, 종합병원 응급실 등은 24시간 응급환자 진료가 가능하도록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수원과 의정부, 파주, 이천, 안성, 포천 등 경기도의료원 6곳과 성남시의료원은 진료공백 최소화를 위해 의료진 집단휴진기간에도 외래진료와 응급실 24시간 진료를 정상적으로 실시한다. 의료공백 최소화를 위해 12일부터 집단휴진 종료 시까지 경기도 비상진료대책상황실도 설치해 운영한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 감염증 발생 신고가 전년도 대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의료기관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CRE 감염증은 2017년 6월 3일부터 전수감시 감염병으로 지정해 의료기관 내 집단감염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CRE 감염증 신고 중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올해는 70세 이상이 전체 신고의 60% 이상에 달했으며, 요양병원 신고건의 비율도 2018년 4%에서 2020년 10%로 증가했다. CRE 감염증 증가의 원인으로는 전수감시 전환 이후 신고에 대한 의료기관의 인식 향상, 환자의 의료기관 이용 증가, 코로나 대응에 따른 감염관리 자원 부족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