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상반기 자동차 글로벌 시장 5.6% 감소
상태바
2019 상반기 자동차 글로벌 시장 5.6% 감소
  • 교통뉴스 김종혁 기자
  • 승인 2019.08.09 14: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인도, 멕시코 시장 큰 폭 감소
메이저 업체들 선제적 구조조정 단행
국내 업계 노사협력과 정부지원 절실
2019년 상반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교통뉴스 자료사진
2019년 상반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교통뉴스 자료사진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미국, EU, 중국,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등 7대 시장의 승용차 판매 분석하고 각 시장의 최신 정책 동향을 담은「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2019년, 상반기)」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 해외 주요 7개 시장의 승용차 판매는 글로벌 경기둔화, 미·중 무역분쟁 여파 등에 따라 전년비 5.6% 감소한 3,117만대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대 신흥시장인 중국과 인도는 각각 11.0%, 10.3%나 줄어들었고, 선진시장인 미국(1.9%↓) EU(3.1%↓)에서도 판매가 감소했다. 반면, 경기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는 브라질 시장에서만 소비자 구매력 증대로 유일하게 11.3% 증가를 보였다.

브랜드 국적별로는 미국계와 유럽계가 각각 6.0%, 4.1% 감소하며 감소폭이 비교적 높았으며, 한국계와 일본계는 각각 3.1%, 1.5%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선방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시장과 인도시장이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며 블랙홀로 전락했다. 중국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브랜드들은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으며 토종브랜드들도 두자리 수인 16.9% 감소했다. 무역분쟁의 여파로 일본 브랜드만 9.2% 증가하는 반사이익을 봤다.

중국시장에서의 깜짝 실적 덕분에 일본 브랜드는 가장 작은 감소폭으로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계 브랜드는 브라질 시장에서 15.7% 큰 폭으로 증가하고 일부시장에서는 소폭 감소하는 등 선방하였으나, 중국(10.0%↓)과 인도(15.8%↓)에서 두 자릿수로 급감하며 전체적으로는 4.1% 감소했다.

일본계는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시장에서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반사이익 등으로 유일하게 9.2% 큰 폭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으로는 1.5%로 가장 낮은 감소폭을 보였다.

미국계는 GM의 선제적 구조조정과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중국시장 판매 감소 등으로 중국(23.5%↓), EU(7.6%↓), 인도(24.8%↓) 등에서 크게 감소하며 전체적으로 6.0% 감소했다.

중국계는 판매감소가 1년여간 지속되면서 중국업체들은 중국시장 수요감소율(11.0%↓)를 훨씬 상회하는 16.9% 감소했다.

현대기아차가 주축인 한국계 브랜드는 미국(3.1%↑)·브라질(8.2%↑)·러시아(0.9%↑) 등에서 선전했으나, 중국시장에서의 14.7%나 줄어들면서 전체적으로 3.1% 감소했다.

지역별 자동차 업계 감소폭.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제공.
지역별 자동차 업계 감소폭.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제공.

미국에서는 기아 텔루라이드, 현대 팰리세이드 등 SUV 신차출시 전략이 먹히면서 국내 브랜드만 유일하게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수익성이 뛰어난 대형 SUV 판매가 늘면서 현대기아차는 2분기 영업이익이 크게 늘었다.

한국계 브랜드는 유럽서는 현상 유지, 인도에서는 감소폭을 최소화 해 실적을 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업계는 여러 악재속에서도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감소폭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선전하였으며, SUV 신차확대, 환율안정, 판촉강화 등으로 영업실적이 개선되는 등 회복세로 전환돼 긍정적 신호로 보인다고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분석했다.

세계 자동차 시장은 당초 전망치를 훨씬 웃도는 큰 폭의 감소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주요 자동차업체들은 과잉설비 및 인력 구조조정을 속속 발표하고 있고, 이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R&D에 집중 투자하는 등 미래를 대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정만기 회장은 “최근 우리 업계는 중국시장 실적 악화, 미-중 무역마찰에 더하여 최근 일본의 수출규제와 하반기 임단협을 둘러싼 노사 갈등 등 대내외 리스크 요인 증가와 불투명성 확대에 직면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정 회장은 이어 “위기극복을 위한 노사협력, R&D 투자 확대 등 기업측면의 노력을 정부가 핵심 소재·부품 국산화 개발, 화평·화관법 등 환경, 안전, 노동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해 주는 것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