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만여 심야점멸신호등 운영강화, 선명한 횡단보도 위험차량 접근 알리는 지능형가로등, 1.9배 높은 도별 사망사고와 위험지방도로 정비·개선
상태바
전국 2만여 심야점멸신호등 운영강화, 선명한 횡단보도 위험차량 접근 알리는 지능형가로등, 1.9배 높은 도별 사망사고와 위험지방도로 정비·개선
  • 교통뉴스 김경배 위원
  • 승인 2019.04.20 1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 주간의 교통이슈를 짚어봅니다.
위클리 교통 이슈!
김경배 교통전문위원과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네. 안녕하십니까.
 
Q : 오늘은 어떤 소식 전해주실 건가요?
. 2만여개소의 전국 심야점멸신호등 운영을 보행 안전으로 강화됐고, 2023년 어두운 횡단보도를 선명하게 비추고 위험차량 접근과 보행자를 알리는 지능형 가로등으로 바뀝니다.
특별·광역시 사망사고보다 1.9배 높은 도별 위험 지방도로 정비·개선에 3백31억 원이 투입됐다는 소식 준비했습니다.
 
Q : 41% 정도의 신호등이 차량통행이 적은 심야시간 대 점멸 기능으로 바뀌지만 황색과 적색이 표시하는 의미는 같은 거죠?
네. 전국에 설치된 5만86개소 신호등 중 보행인이 거의 없는 심야 시간대는 2만7백79개 신호등이 점멸 기능으로 바뀌는데요.
원활한 통행차원에서 점멸 식으로 바뀌었을 뿐, 색상이 표시하는 의미는 같기 때문에 적색에서는 반드시 멈춰야 합니다.
황색점멸에서는 주의와 서행운행을 할 수 있지만 적색점멸에서는 일시정지 후 진행해야 하지만 이를 준수하지 않는 데서 보행 교통사고 발생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016년에서 2018년 22시에서 06시 사이 발생된 사고건수와 사망자 수까지 높기 때문에 점멸신호가 강화된 거죠.
 
Q : 차량속도와 통행량도 사고와 직결되지만 점멸신호등 앞에서 우선멈춤을 무시하고 경고로 받아들이지 않는 게 화근이겠네요?
그렇습니다. 5만6백5건의 사고가 일어난 일반신호 사망자수는 9백68명인데 반해 점멸신호 교통사고는 6천3백43건 발생에 1백99명이 숨졌습니다.
도로교통공단의 점멸신호 장소별 사고와 해외기준 대비 사례분석 연구에서 5차로 이상 도로의 제한속도가 시속 60km 이상이거나 시간 당 교통량이 400대 넘으면 사고율이 급증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요.
경찰은 차로 수 대비 속도를 하향하고 연간교통사고 발생건수와 교통량에 따른 기준도 강화했습니다.
연 교통사고발생 4건이하에서 3건이하인 교차로 점멸운용은 24시에서 05시로 2시간이 단축되고, 왕복4차로 속도는 5030에 맞춰 50km로 하향은 2020년까지 조정됩니다.
 
Q : 사고 줄이기 위해 관련부처들이 준비하는 인공지능기반 가로등이 2030년 설치되면 안전한 보행과 운행에 큰 도움 되겠네요?
네. 국토교통부가 산자부 행안부 등 다부처 협업으로 추진하는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이
2023년 조성된다고 하는데요.
디지털 신호와 연동해서 위험상황 알리는 지능형 가로등이 탄생되면 운전자에게 시야 장애를 주는 빗길 차선과 신호등 위험을 예고하게 됩니다.
특히 어두운 색상의 옷을 입은 보행자가 우산에 얼굴을 가린 채 횡단보도를 건널 때 나타나는 위험한 상황까지 경고하는 기능을 발휘한다고 합니다.
한 마디로 대상 위험관리지점인 터널과 결빙지역, 교차로와 횡단보도·스쿨존 같은 5대사고 다발도로에서 필요로 하는 특화 기술입니다.
 
Q : 4개 부처가 고속도로에서 소개된 스마트 기능과 비슷한 인공지능형 도로를 만들기 위해 260억 원의 개발비를 투자한 거군요?
그렇습니다. 교통사고를 예방해 주는 사고위험 정보는 과속과 급차로 변경 등의 위험차량 이동경로 추적해서 주변 차량과 신호등, 도로조명 정보와 연동하게 되는데요.
발광 표시장치와 디지털 사인이 어두운 횡단보도를 밝게 해 주는 동시에 위험차량 접근시 문구와 음성으로 경고하는 사물인터넷 센서 융합형 인공지능 도로조명입니다.
260억 원이 투입되는 이 기술은 보행자 주의 환기는 물론 300m 내에 보행자가 있을 경우, 운전자에게 무선통신으로 통보해 줍니다.
디지털 사인기술은 감속유도와 전방 횡단보도 위치안내를 비롯 빗길 제동거리까지 연산하는 엣지 컴퓨터가 인근 교차로 신호등을 적색으로 전환시켜 추돌사고를 예방합니다.
 
Q : 스마트 도로조명으로 개선되면 교통사고 사망수가 특별과 광역시 보다 50% 높은 도 지역 교통안전 시설도 보강이 되겠네요?
네. 그 때 까지는 현 상황과 영향력이 지배적 일 것 같아 자동차 1만 대당 교통사고와 사망자 수로 비교 분석한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지자체별 교통 안전도를 예로 들겠습니다.
도 단위 지자체에서는 1만대 당 1.7명이 교통사고 희생된 데 반해, 특별과 광역시는 절반 정도인 0.9명으로 나타났습니다.
도 지역은 예산과 인력 대비, 관리범위가 넓고, 여기에 행락 철과 휴가철 집중되는 교통량 등 계절적 영향까지 가세하기 때문입니다.
경찰청은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3천7백81명으로 2017년보다 9.7% 감소했고, 자동차1만 대당 교통사고 사망자 역시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했다고 했지만 이번 분석은 울산 16%, 인천6%, 대전3%은 오히려 증가했다고 합니다.
 
Q : 전국평균치 보다 사망자가 많이 발생된 도 단위 지자체별 사고원인도 다양하겠지만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어떤 것일까요?
네.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법인택시와 화물차 등 교통사고 취약부문에 중점을 둔 감소대책과 한가한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 안전과 직결되는 마을주민 보호구간 확대가 우선돼야 하는데요.
도시 외 지역 도로 주변에서 발생되는 마을주민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선 미끄럼 방지포장과 과속 단속카메라 설치 같은 교통안전 환경부터 개선돼야 합니다.
특히 사망자 증가 지역에 대해, 지자체와 경찰청 등 교통안전 유관기관의 관심이 높습니다.
참여 협의체 비롯 어린이 교통안전 골든 벨과 블랙박스 감시단 운영 등과 함께 시민들 안전의식을 개선하는 다양한 교통안전사업이 추진됩니다.
 
Q : 지난달 안전행정부가 지방도로 교통사고 다발 위험구간 정비․개선사업에 투입한다는 331억 원 용도에도 포함됐으면 좋겠네요?
그런데 지방도로 위험구간 대상 구조를 개선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주로 급경사와 급커브처럼 도로시설 기준에 맞지 않는 지점에 투입됩니다.
물론 열악한 지자체 제정으로 커버할 수 없는 넓은 도로 개선에는 지원이 포함됩니다.
이는 전체도로 83%를 지자체가 관리하는 상황에서 교통사고 발생 86.7%와 사망자 73.2%가 지방도로에서 일어나기 때문인데요.
2017년 기준 11만 91km 도로 중 지자체가 관리하는 도로 9만1천3백91km나 되다 보니, 한 해 18만7천5백9건의 교통사고로 3천64명이 숨졌습니다.
 
Q : 전국도로 83%를 각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현실이라 사고 다발 지역 개선도 엄두도 못 내는 상황인데 큰 도움이 되겠네요?
맞습니다. 국민 80%정도가 대도시권에 거주하는 현실이라 출 퇴근을 위해 행정경계를 조석으로 넘나드는 급증된 광역교통수요 역시 심각한 교통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입니다.
도로와 시설을 보강해서 사고를 줄이는 사업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천6백92개소를 개선하는 데 1차 8천7백42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이어되는 제2차 중장기계획은 10개년 동안 16개 시‧도, 7백15개소에 1조 3천6백72억 원이 연차별로 투입되는데요.
사업 시행 전‧후 비교에서 교통사고가 최근 5년간 평균 65% 감소하는 등의 높은 사업효과를 거뒀다고 합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