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외국인 직접투자 동향
상태바
2015년 외국인 직접투자 동향
  • cartvnews
  • 승인 2016.01.06 11: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고 209.1억 달러, 도착 159.5억 달러 기록

  산업통상자원부.jpg

2015년 외국인 직접투자는 신고·도착기준 모두 사상 최고실적을 달성했다.

 

신고는 전년(190.0억 달러) 대비 10.0% 증가한 209.1억 달러를 기록했고, 도착은 전년(120.6억 달러) 대비 32.3% 증가한 159.5억 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외국인 직접투자의 세부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고기준)

 

(국가별) 미국(54.8억 달러, 51.8%), 중국(19.8억 달러, 66.3%), 중동(13.8억 달러, 514.1%) 등 투자가 증가하였으며, 유럽연합(EU)(24.9억 달러, 61.6%), 일본(16.7억 달러, 33.1%)의 투자는 감소하였다.

 

중국*은 한·FTA, 한류 기대효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였으며, 중동**은 정상외교(‘15.3월 대통령 순방)를 계기로 투자협력관계가 보다 강화되어 사상최대 투자유치 실적을 달성하였다.

 

* 중국 FDI추이(신고, 백만달러) : (‘10)414(‘11)651(‘12)727(‘13)481(‘14)1,189(‘15)1,978

 

** 중동 FDI추이(신고, 백만달러) : (‘10)171(‘11)92(‘12)52(‘13)78(‘14)225(‘15)1,382

 

이에 반해, 일본투자는 엔저로 인해 감소하였고, EU는 지난해 대형M&A형 투자의 기저효과로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업종별) 서비스업(147.3억 달러, 31.7%), 건설 등 기타(16.2억 달러, 871.7%)는 증가하였으나, 제조업(45.6억 달러, 40.3%)은 감소하였다.

 

한류 등 관광 수요확대, FTA 플랫폼을 활용한 물류수요 확대로 복합리조트, 문화콘텐츠, 물류 등의 서비스업과 중동 자본의 국내 건설사 지분투자로 인한 건설업 등의 투자는 증가하였으나,

 

지난해 제조업분야 대형 M&A투자의 기저효과 및 저유가, 엔저 영향으로 제조업 투자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반도체, 2차전지 분야 등 국내 글로벌 기업와 연계된 고부가가치의 부품소재분야 투자는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유형별) 그린필드형(141.1억 달러, 28.0%)은 증가한 반면, 인수합병형(68.0억 달러, 14.8%) 투자는 감소하였다.

 

그린필드형 투자는 제조업 분야의 자동차?IT?석유화학 등 한국기업이 주도하는 글로벌 밸류체인(GVC) 참여목적의 투자와 서비스업 분야의 복합리조트?물류 등을 중심으로 증가하였고,

 

인수합병형 투자는 지난해 대비 감소하였으나, 글로벌 M&A, 사모펀드시장 규모확대에 따라 해외기업·PEF 등의 국내기업인수 및 중동·중국시장 진출목적의 전략적 투자는 증가하고 있다.

 

2015년 외국인 직접투자 평가

 

(2년 연속 최고실적) ‘14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신고·도착기준 모두 사상 최고실적 경신하여 신고 200억 달러, 도착 150억 달러 달성

 

(투자회복세) ‘15년 외국인 투자*는 하반기 들어 한·중자유무역협정(FTA), 정상 해외순방 성과 등으로 본격적 회복세에 접어들어, 연초 저조했던 실적 탈피

 

* 전년대비 누적 증감률(%) 추이(신고/도착) : (1~3)29.8/14.8 (1~6)14.2/17.6 (1~9)10.5/11.6 (1~12)10.0/32.3

 

(투자 다변화) 미국·유럽·일본 중심에서 중국(‘134.8$’1519.8$), 중동(‘130.8$’1513.8$) 등이 새로운 대 한(對韓) 투자국으로 부상

 

한류 확대, FTA 플랫폼 구축에 따른 물류수요 증가로 문화콘텐츠(‘130.8$’1511.9$), 물류(‘131.0$’157.3$) 등 신규분야 투자확대

2016년은 미국의 견조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세계경제의 완만한 회복전망, ·중 자유무역협정(이하 FTA) 효과 및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에 대한 지속적 노력으로 올해와 같이 200억 달러 수준에 달하는 외국인투자 호조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FTA 발효를 계기로 중국기업의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 기득권(프리미엄)을 활용한 중국내수시장 진출형, 글로벌 선진기업의 중국진출 전초기지형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1월부터 중국을 중심으로 투자유치활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1월 말, 중국 북경·상해 등지에서 한·FTA 설명회, 1:1 투자 상담회를 통해 한·FTA 홍보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중국에 우리나라의 투자유망품목인 고급 소비재(식품, 패션, 화장품, 문화콘텐츠 등)분야의 투자유치활동을 전개해나가기로 했다.

 

미국·유럽연합(EU)·중국() 등 전세계 국내총생산(GDP)73%에 해당하는 수출시장을 확보한 FTA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2월부터 미국, 유럽, 일본 등지의 글로벌 선진기업의 한국투자를 촉진시키기 위한 투자유치활동도 강화(‘15년 중화권 제외 IR 9’1612)해 나가기로 했다.

 

이 밖에, 온실가스 감축 등 신기후변화체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신산업분야 해외 선진기술의 유치활동도 펼쳐나가기로 했다.

 

[교통뉴스 보도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